▲ 김대화   삼척문화원장
▲ 김대화
삼척문화원장
최근 들어 전국 곳곳에서 문화재단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다.2014년 7월 지역문화진흥법의 시행 이후로 문화재단의 설립에 가속이 붙고 있다.삼척시도 문화재단 건립의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웃 동해시도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현재까지 전국에 설립된 문화재단은 60여개로 도내에도 강원문화재단을 비롯해 춘천,원주,강릉,인제,영월,정선,평창 등 8개의 문화재단이 있다.문화재단은 열악한 지역문화사업의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문화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즉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자산의 가치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전문기관인 것이다.
여기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점이 있다. 전국에는 228개의 지방문화원이 있다.삼척문화원만 하더라도 지난해에 창립 60주년을 맞았으며 대부분의 문화원이 오랜 기간 향토문화의 진흥을 위해 활동해오고 있다.그동안 각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에서는 지금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화재단의 역할을 문화원이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중앙정부 또는 해당 지자체에 재정 및 인력지원을 끊임없이 요청해 왔다.하지만 그러한 요구에도 아랑곳없이 이처럼 문화재단 설립이 추진되는 것이 납득하기 쉽지만은 않다.
문화재단이 설립되면 적어도 10여명 안팎의 인력이 필요할 것이고 그에 따른 운영비와 사업비 등 예산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대부분의 지방문화원은 이미 문화기반시설로서 자리를 잡고 있고, 사업면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노하우를 갖추고 있으며 거점화되어 있다. 이러한 문화원에 보다 집중적으로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전문인력을 보강하고 지역문화를 꽃피울 수 있는 사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오히려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된다.무엇보다 크게 우려되는 점은 문화재단이 문화권력화되기 쉽다는 점이다.문화예술관련 예산이 집중화됨으로써 기존의 문화예술단체와 수많은 마찰과 잡음이 있음을 다른 지역의 예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문화재단이 지역의 문화예술계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공생할 수 있는 참신한 사업을 창안하는 전략을 갖고 있지 않는 한, 기존 사업의 중복 시행이나 단지 시행주체가 변경되는 수준에 머무르기 쉽다.
기왕에 문화재단 설립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면 지역 문화예술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허심탄회하게 수렴하는 일이 선행돼야 할 것이며 문화예술 하드웨어의 효율적 관리를 중심으로 지역에 산재한 소중한 문화자산의 발굴,주민의 품격 높은 삶을 위한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등 일선 문화예술계가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기관으로 탄생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