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수   강원대체육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김용수
강원대체육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고대사회에서부터 제전경기로서 개최되던 올림픽은 근대 이후 인류의 화합과 교류, 그리고 증진을 목표로 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 숭고한 올림픽 가치 및 이념의 구현과 올림픽 운동의 세계적 확산은 지구촌의 다양한 인종과 민족, 그리고 문화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며, 세계의 청년들이 서로 화합하고 함께 평화를 추구하는 인도주의적 문화를 증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이런 노력들은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중심으로 올림픽이 갖는 소중한 유산들에 대한 심각한 제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올림픽 헌장을 중심으로 올림픽운동을 전개하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대회로 인하여 창출되는 계획적, 비계획적, 긍정적, 부정적, 유형, 무형의 구조와 영향으로서 그 효과가 개최 도시 및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 환경, 스포츠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대물림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개최도시의 ‘올림픽 유산(lagacy)’에 대한 계획을 개최지 선정 단계에서부터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IOC는 개최도시 및 국가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긍정적 유산의 필요성을 명시한 14번째 강령을 IOC 헌장에 포함하면서 올림픽을 유치하고자 하는 도시는 ‘올림픽 유산’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실천을 담보해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되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위대한 올림픽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준비 기간 동안 평창동계올림픽이 지켜야 할 원칙을 세우고, 어떠한 철학과 정신(Olympism)을 담아야 할 것이며, 올림픽 사후에 남겨질 유산을 정하여야 한다. 올림픽 헌장에 따르면 올림픽의 목적은 스포츠를 통하여 평화롭고 더 나은 세상을 이룩하는 것이며 이러한 것을 이루기 위해서 올림픽정신과 올림픽운동을 확산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도 ‘사람’과 ‘새지평(new horizon)’이라는 이념적 가치 기준을 설정하여 올림픽 유산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이러한 의지들은 개최 단계에서만 유효할 뿐 개최가 확정된 시점부터는 그 의미가 퇴색되는 경향이 농후하다. 최근 올림픽 개최지들의 재정적 문제들이 많아지면서 개최 단계에서부터 국가 및 지자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경제적 안정화에만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 형국인 것이다. 이런 현상은 국민들에게 제시되는 올림픽의 효과에 대한 자료들이 무형적 유산과 관련된 내용들이 아닌 경제적 효과에 집중되는 양상을 낳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잘 드러난다.
물론 ‘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국가적 측면에서 한국의 세계적 위상 제고, 국내경제 활성화, 최첨단 산업 육성 및 세계 시장 주도, 국민 통합 및 자긍심 고양, 남북한 화해 협력 및 평화 증진 기여 등과 지역적 측면에서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및 지역발전 도모, 개최지역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 제고, 지방의 국제화 촉진, 아시아 지역 동계스포츠의 확산 및 관광 허브로 자리매김 등과 같은 무형적인 이득에 대해 간과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올림픽운동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대회에서 무공해 올림픽 선언 이후 하나의 사업재가 아닌 가치재로 인식되면서 동계올림픽에 대한 이해는 올림픽경기에 따른 유·무형적인 유산을 통해 지속적인 관광산업의 성장을 의미하게 되었다. 즉 직접적인 이득보다는 지속적인 성장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과거의 올림픽 패러다임인 개발 중심적 접근은 그 의미가 퇴색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