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수   강원대학교체육과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 김용수
강원대학교체육과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올림픽은 국가 간의 스포츠 경쟁을 넘어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아우르는 종합 이벤트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경계를 초월해 사회의 다양한 분야인, 정치, 경제, 철학, 역사, 예술 등과 연계되는 문화이벤트의 총체로 변모해 왔다.
올림픽과 같은 초대형 스포츠 스포츠이벤트는 스포츠 경쟁이란 핵심 콘텐츠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돼 유·무형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나아가 숭고한 올림픽 가치 및 이념 구현과 올림픽 문화의 전 지구적 확산을 통해 지구촌의 다양한 인종과 민족, 문화를 융합하는 촉매 역할을 수행하고 차세대를 위한 독특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유산을 창출한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올림픽 유산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됐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02년 11월 올림픽헌장(Olympic Charter) 수정을 통해 올림픽 개최 도시 및 개최국에 남는 긍정적 유산 촉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명시하는 강령을 포함시켰다.
IOC는 올림픽 유치신청서(Bid file)의 첫 번째 항목(theme)을 ‘올림픽의 컨셉과 레거시(Olympic Games concept and legacy)’로 설정하고 유치 희망 도시로 하여금 신청서에 올림픽 유산 계획을 포함하여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IOC의 올림픽 유산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조치는 자크 로게 전 IOC위원장이 런던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국내 한 언론사에 기고한 사설에서도 잘 드러내고 있다.
“올림픽 유산이 항상 올림픽의 최전선에 있었던 것 아니다. 예전에 올림픽 유산이란 올림픽이 끝나면 생각해 볼 거리에 불과했다. 우연에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IOC는 개최 도시가 올림픽 후에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촉매제가 필요하며, 이는 올림픽 준비 단계부터 마련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렇기에 IOC가 모든 후보 도시들에게 개최 목표와 함께 장기 계획을 함께 제출하도록 할 것이다.”
올림픽 유산 정책은 올림픽 유산의 개념이 인프라적 측면에만 머물러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계획 단계에서부터 실행 단계를 거쳐 성과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실행 전략이 담보돼야 한다.
따라서 스포츠 유산 계획 실행 성과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