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문화체육부장관 등 고위직 현장 방문 이후가 중요

지난 15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평창 올림픽 준비 상황 점검 등을 위해 올림픽 개·폐회식장 건설 현장을 찾았다. 이 자리에서 국무총리는 “예산은 제 때 지원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관계 부처에 평창 올림픽 예산 지원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그 5 일 뒤에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같은 코스를 지나며 동계올림픽 관련 사안의 지원 및 격려의 언급을 마다하지 않았다.

정부 고위직의 ‘평창’ 행보는 지극히 마땅한 일이다. 더구나 취임 초여서 국가 대사 중 하나인 올림픽의 생생한 현장을 찾아 그 움직임을 샅샅이 살펴야 할 바다. 이런 맥락에서 두 분 고위직의 평창과 강릉 방문은 예의 갖가지 걸림돌을 청취하고, 함께 염려하며, 국정 농단 사태와 관련해 떨어진 사기를 북돋아 주는 등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그 ‘평창’은 여전히 할 일이 많다. 국민적 관심, 곧 붐 조성이 간절한 지경에다가 도가 요청한 정부 추경예산 677억 원 지원이 난항에 처한 지경 등이 그렇다. 경기장 시설과 접근 교통망 또한 아직 미완이다. 그리하여 국민들은 ‘그렇다면 올림픽 성공을 낙관해도 좋은가’하고 묻는다. 이는 한 마디로 정부 고위직이 ‘평창’ 관련 갖가지 지원 약속과 격려의 말을 아끼지 않았는데, 현실적으로 그 가시적 실천 정황이 보이는가 하는 물음으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사실 두 분 고위직이 방문하여 보다 더 중요시한 대목이 평화올림픽 관련 북한의 참여 문제였다는 인상이 짙어서 하는 말이다. 예컨대 도종환 문체부장관의 “평화올림픽의 핵심은 북한 선수단의 참가로 선수단이 참가하면 응원단의 공동응원 등도 가능할 것”이라며 “북한 선수단 참가를 위해 IOC 및 국제경기연맹 등 관계 기관과 협의를 추진해 나아가겠다”고 밝힌 대목이 그러하다. 당연한 생각이고, 그렇게 되길 바라는 국민적 공감 또한 적지 않다.

하지만 이런 당위나 명분의 거론은 다른 자리에서 해도 부족함이 없을 듯하다. ‘평창’ 현장에서 해야 할 말 혹은 행동은 준비의 걸림돌을 걷어내는 즉각적 실행 실천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고 본다. 관념이 아니라 행동, 보편이 아니라 평창의 특수성에 눈을 맞춰야 한다고 믿는다. 곧 문재인 대통령의 ‘평창’ 방문이 있을 듯하다. 그리하여 강조하는 것은 200여 일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무엇보다 방문 이후 그 구체적 실행이 주목된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