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0, 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위한 제언] 2. 사회적 경제를 키우자
도·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5년부터 지원단 운영
올림픽 상품 개발·고도화
사회적경제 특구 등 모색
정부주도형 인프라 구축
스폰서·파트너 협업 필요

▲ ▲ 강원도와 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강원음식문화 유산창출을 위해 건강수제도시락 ‘강원만찬’을 개발 및 론칭,올림픽 납품을 추진중이다.도내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지역에서 나고자란 신선한 재료로 당일 만들며 강원도 향토음식을 기반으로 한다.
▲ 강원도와 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강원음식문화 유산창출을 위해 건강수제도시락 ‘강원만찬’을 개발 및 론칭,올림픽 납품을 추진중이다.도내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지역에서 나고자란 신선한 재료로 당일 만들며 강원도 향토음식을 기반으로 한다.
강원도와 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사회적경제를 접목시킬 전략을 마련, 직·간접적인 동참 방안을 찾아왔다.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실현전략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사회적경제 분야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동원할 수 있는 강원도내 인·물적 자원은 이미 풍부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중증장애인들의 자활을 돕거나 친환경 물품을 만드는 곳,지역특산품을 개발하는 곳 등 도내 사회적기업들이 다양하게 활동중이다.이미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50선과 스타상품 15선이 개발됐고,강원로컬푸드 도시락 9종이 런칭돼 있다.

청와대와 각 부처,강원도,평창조직위 등이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실현방안이 이달중 구체화될 예정이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문재인 정부의 일자리창출,도시재생 정책 등을 사회적경제 올림픽으로 전환,새로운 지역성장의 동력을 찾고 사후관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구체적 실현전략이 중요해졌다.

■현황

도와 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평창동계올림픽 사회적경제 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올림픽에 대비한 우수상품을 발굴하고 제품을 고도화하는 것이 목적이다.도내 사회적경제기업 980개(사회적기업 177개·마을기업 112개·협동조합 613개·자활기업 78개)를 대상으로 추진,대회기간 강릉역과 평창 횡계에 강원쇼핑센터가 1곳씩 설치,내년 1월부터 2달여간 운영될 예정이다.평창조직위는 물론 롯데나 영원무역,코카콜라 등 올림픽 스폰서 및 파트너 그룹들과 세븐일레븐,코레일,휘닉스 등에도 도내 사회적기업과의 상생을 위한 협조요청을 하고 있다.

■추진 방향

도 사회적경제 상품을 대회와 경기장에서 직접 쓰게 하는 방안부터 올림픽 손님들을 지역밀착형 관광프로그램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까지 직·간접적 참여 방안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

# 물품조달 및 서비스

조직위가 발주하는 물품구매나 용역에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것이 가장 직접적이다.춘천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생산하는 복사용지를 쓰거나,전문영역을 제외한 경기장 청소용역을 ‘강원청소협동조합’이 맡는 등 지역 내 사회적경제 청소·경비 용역업체 하도급을 허용하는 방안 등이다.올림픽 스폰서 및 파트너인 다국적기업과의 연계대책도 거론된다.화장지 일부는 P&G 대신 한지를 활용한 도내 제품을 공급하고,털모자 같은 응원용품도 도내 사회적기업 제품을 납품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지난해 11월에는 강원로컬푸드 도시락 강원만찬을 런칭,한우오색볶음밥과 송어스테이크 등 지역 특산물로 만든 향토도시락 9종을 도내 사회적기업들과 함께 선보였다.시상식 꽃다발도 업사이클링(upcycling) 제품을 만드는 도내 농업회사법인이나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도 제안돼 있다.

# 관광

올림픽 손님들을 대상으로 개최지역과 강원도의 ‘속살’을 보여줄 수 있는 지역특화형 체험여행 프로그램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도내 농촌체험마을 126곳과 개최지역의 체험·숙박기업이 사회적경제 체험관광네트워크와 연계해 관련 상품이 개발중이다.저소득층이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의 올림픽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올림픽 공정여행 프로그램도 검토되고 있다.이를 위해서는 공기업의 사회공헌 등이 필요하다.취약계층을 아우르는 이러한 계획은 패럴림픽 개최효과도 높일 수 있다.강원도 관광정보 모바일 웹(강원투어),사회적경제 체험관광(모락모락)과 의 종합연계가 필수다.

# 사후활용 및 유산창출

대회 이후의 부채나 사후시설관리 문제가 지자체 부담으로 넘어오지 않게 하는 열쇠로도 사회적경제가 거론된다.해당 시설의 관리,활용을 희망하는 사회적기업 창업을 도아 강릉시의 원도심 재생사업과 연계하면 기존의 사후활용계획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올림픽 플라자등 경기장 시설과 시내 전통문화유산이 있는 원도심을 ‘사회적경제 특구’로 추진하는 방안이다.선수나 시민들의 직접적인 체육활동 외에도 관련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거나 프리마켓으로 활용하는 등 시설 사후대책을 사회적 경제와 접목시키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과제

평창의 경우 현재 지역 차원의 노력으로는 올림픽에 참여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이미 IOC,조직위 등과 계약을 맺은 스폰서기업들이 권리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의 협의가 원활하지 못했다.대회개최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도 걱정이다.때문에 실행력을 담보하는 지원시스템 구축과 집약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필요하다.노전표 연세대 교수는 “올림픽 스폰서 및 파트너 등 대기업과 사회적 경제의 협업을 위해서는 정부주도형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역할이 큰 조직위에서도 평창올림픽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실현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여진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