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여전히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한다.최근 보건복지부의 통계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1만315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나타났다.하루에 36명,1시간 마다 1.5명꼴로 세상을 등지고 있다는 것이다.이것은 물론 우리나라에 국한된 얘기는 아니다.그러나 경제 사정이 비슷한 다른 나라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는 25.8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 12명에 비해 두 배를 웃돈다.이웃나라 일본도 자살률이 높은 나라로 꼽히지만 인구 10만 명 당 18.7명으로 우리나라가 역시 압도적으로 심각하다는 것을 말한다.이렇게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것은 그 배경과 결과 모두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할 수 없다.이 점을 간과하기 어렵고 보다 심각하게 걱정해야 하는 이유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연간 사회·경제적 손실이 14조 원에 달한다.그 다음 사망 원인이 자살인데 6조4769억 원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게 건강보험연구원이 내놓은 분석이다.자살에 사회적 동기가 있고 결과 또한 이처럼 폭넓게 미친다면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 옳다.2011년 자살예방법을 제정하면서 사회적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다행이지만 턱없이 미미한 수준이라고 한다.

일본은 한 해 7508억 원을 들여 자살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우리나라 내년 자살예방을 위한 예산은 105억5200만 원으로 일본의 1.3%에 머물고 있다.우리나라는 교통사고 사망률 또한 높은 편에 속한다.2015년 무려 4621명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다.그러나 연간 4000억 원 가량을 들여 예방대책을 세우면서 2001~ 2011년 사망자가 39% 감소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개인의 삶이 소외된 압축성장이 이러한 폐단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자살은 복합적 원인의 결과인 동시에 그 사회에 대한 총체적 평가가 될 수밖에 없다.이 같은 자살 추세는 분명한 적신호를 보내는 것이다.지역별로는 2015년 10만 명 당 서울이 19.9명이 자살한데 비해 강원도가 28.7명으로 극명한 대비를 보인다.이 극단적 불균형에서 정부나 강원도가 또 다른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김상수 논설실장 ssookim@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