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의 현지화·지역인재 채용 확대로 효과 적극 살려야

강원도의 주요 발전 동인(動因) 가운데 하나로 원주혁신도시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혁신도시 정책은 과도한 수도권 집중이 빚어낸 폐단을 줄이기 위한 사실상 마지막 카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여러 가지 과밀해소 대책이 없지 않았지만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고 이 때문에 꺼내든 카드가 혁신도시라고 하겠다.공공기관의 강제적 지방 이전을 통해 수도권 과밀해소와 비수도권 균형발전을 꾀했던 셈이다.강원도의 경우 개발 연대 발전 축에서 배제되면서 누대에 걸쳐 낙후를 면치 못했다는 점에서 그 어느 지역보다 이 정책에 거는 기대가 컸다.

원주혁신도시는 따라서 원주권은 물론 강원도 전체에 변화를 몰고 올 하나의 대역사로 주목받아왔다.참여정부 때 시작된 이 사업은 지난 10여 년 간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2013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이전을 시작하고 지난 5월30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개청식을 가짐으로써 4년 만에 13개 공공기관이 이전을 모두 마쳤다.원주시 반곡동 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은 건강·생명분야 4곳,자원개발분야 3곳,관광분야 2곳,기타분야 4곳이다.대체로 강원도의 자연 환경과 지리적 특성,산업발전 방향과 궤를 같이하는 기관이 이전하게 된 것이다.

올해 오랜 계획과 시행착오를 거쳐 사실상 혁신도시 조성과 공공기관 이전 사업이 모두 마무리된다.공공기관 이전을 계기로 원주는 2020년까지 혁신도시에 인구 3만1000명을 목표로 새로운 신도시를 꿈꾸고 있다.인구 증가율이 둔화되고 이 때문에 경제 활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혁신도시는 정체 상태에 놓인 강원경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이것이 지역사회의 염원이자 큰 부담을 안고 추진한 공공기관 이전의 본래 취지일 것이다.이제 과제는 공공기관이 지닌 각각의 특성과 역량이 강원도와 어떻게 연계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전 기관이 지역에 하루빨리 뿌리를 내리고 지역산업과도 상승작용을 일으켜야 한다.이전 기관이 융화하고 새롭게 거듭나는 것이 필요하다.아직 초기단계이긴 하지만 그러나 이주율은 5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이와 더불어 지역인재를 적극 채용함으로써 지역에 뿌리를 둔 기관으로 토착화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정부도 어제 국무회의에서 2022년까지 30%까지 지역인재 의무채용을 늘려가겠다고 밝혔다.원주혁신도시 10개 기관이 하반기 500~600명을 신규 채용할 것이라고 한다.보다 전향적인 지역화 정책이 실천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