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동태,황태,북어,코다리.명태만큼 다양하게 불리는 생선은 없을 것이다.계절에 따라 불리는 이름도 다르다.봄에 잡은 것은 ‘춘태’,가을에 잡은 것은 ‘추태’라고 부른다.또 근해에서 잡았으면 ‘지방태’라고 하고,원양어업으로 잡았으면 ‘원양태’라고 한다.지방태 중에서는 명태를 잡은 방법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른데,그물로 잡은 것은 ‘망태(그물태)’라고 하고 낚시대로 잡은 것은 ‘조태(낚시태)’라고 한다.

허영만의 만화 ‘식객(食客)’에 보면 그물태는 명태가 그물코에 끼여 몸부림치는 바람에 손상이 심하지만,냉동꽁치를 미끼로 사용하는 낚시태는 주낙을 던져 바로 올리니까 아가미 아래쪽에서 시작하는 검은 반점이 온전하게 남아있을 정도로 신선하다고 했다.동해안에서 명태가 사라진 요즘에야 낚시로 잡은 명태를 맛보는 호사를 누리기는 불가능한 일이 되었지만 말이다.

이유원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는 “명천(明川)에 태(太)가라는 성을 가진 어부가 어떤 물고기를 낚아 도백(道伯)에게 바쳤는데,도백이 이를 아주 맛있게 먹고 태씨가 잡았으니 ‘명태(明太)’라고 이름지었다고 전해진다.이를 보면 명태는 이 물고기를 잡았던 지명(明)과 잡은 이의 성(太)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생각된다.명태의 또다른 이름 ‘북어(北魚)’도 북쪽 바다(北海)에서 잡았다고 해 이름 붙여진 것이라는 문헌도 있다.

오늘날의 명태는 대부분 원양어업이나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지만 부정할 수 없는 국민 생선이다.가정에서는 주로 얼린 상태로 반입된 명태에 무를 넣고 시원하게 맑은탕이나 매운탕을 만들어 먹는다.특히 강원도 겨울덕장에서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해 만들어진 황태와 바닷바람에 바짝 말린 북어,살짝 말린 코다리 그리고 명란젓,창난젓 등 명태는 다양한 형태의 먹거리로 변신해 우리 밥상에 오르고 있다.

지난 북한공연에서 함경도 출신 실향민의 아들인 가수 강산에가 ‘명태’라는 노래를 불러 화제가 됐다.그동안 함경도를 비롯한 북쪽 동해안에서 잡히던 명태가 강원도 고성 앞바다에 나타났다는 반가운 소식이다.마침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명태의 재등장이라니,모쪼록 명태가 남북 평화와 화해의 ‘민족생선’이 되길 기대한다.

천남수 사회조사연구소장 chonns@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