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범권 북부지방산림청장
▲ 전범권 북부지방산림청장
우리나라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그 답은 바로 강우(降雨)이다.그럼 과거에는 어땠을까? 지난 2013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행한 ‘조선시대 산사태 기록을 정리한 연구자료’를 분석해 보면 사례 180건 중 158건(88%)이 강우에 의한 것이었다.

그 외 원인미상이 17 건(9%),기타가 5건(3%-용출수 1 건,둑터짐 1 건,개간과다 1 건,지진 1 건,도남벌 1 건)이다.우리나라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중요 원인은 과거에도 강우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가 많이 내리는 5월 중순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산사태 피해예방에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취약지역을 점검하고 인근에 국민들이 있다면 유사시에 대비해 비상연락망을 확인하고 안전한 장소를 지정하는 등 대피체계를 미리 점검해야 한다.국민들은 발령하는 산사태예보 수준에 따라 안전지대로 대피 등 피해예방 조치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산림당국은 산사태취약지역이라고 지정한 곳에는 사방댐,침식방지 시설 등을 설치하여 대규모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그러나 시설물 설치로 모든 피해를 막을 수는 없다.지적경계부가 산지사면이어도 별다른 안전시설 없이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을 만들고 건축물을 가까이 붙이는 새로운 형태의 취약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산사태 발생 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약 5년 전부터 산림청은 비구조물대책을 강화하고 있다.비구조물대책은 사방댐이나 침식방지 시설물 설치에만 의존하던 것을 산사태발생 예측력을 높이고 취약지를 체계적으로 조사 관리함으로써 대피체계를 구축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북부지방산림청은 지난 해 말 기준으로 춘천,홍천,서울,수원,인제,양구 등 관할지역 내 1127 곳을 산사태취약지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전국적으로는 약 2만 4000곳이 지정돼 있다.이 외에도 매년 전국 단위로 기초조사와 실태조사를 통해 취약지로 관리해야 할 곳을 새로 지정하여 산사태피해를 예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이런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과 보수는 미리 준비하고 실행해야 한다.그래야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전국적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안전한 대한민국’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2018국가안전대진단이 추진되었다.지난 2월 5일부터 4월 13일까지 이 기간동안 인명피해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본격적인 우기에 미리 대비하는 기회를 가졌다.산사태 분야뿐만 아니라 안전대진단을 실행하는 모든 분야에서 위험시기 전에 미리 준비하여 생활 속 안전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겠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