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적한 교육현안 풀 정책 밝히고 경쟁 후보 검증 나서야

6·13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가 실종 상태다.26일로 ‘D-48’을 맞지만 선거 분위기가 좀처럼 달아오르지 않는다.교육감 후보자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도 지난 선거와 마찬가지로 시장·군수와 도의원,시·군의원 후보자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후보자들의 유권자 접촉과 정책제시도 지방선거 후보자들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이러다가 후보자들의 정책과 자질은커녕 얼굴도 모른 채 ‘깜깜이 선거’를 치르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일각에서는 벌써부터 ‘교육감 선거 무용론’마저 고개를 든다.후보자와 유권자 모두 각성이 요구된다.

교육감 선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미래의 주역을 길러낸다는 점에서 보면 시장·군수를 뽑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이다.교육 정책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수립되느냐에 따라 학생의 미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이미 우리는 지난 몇 차례의 교육감 선거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친환경무상급식과 보충수업 폐지 등의 정책이 좋은 사례다.교육감에게 주어진 권한은 막강하다.교육감은 강원지역 공립유치원과 초·중·고에 대한 인사권,예산권은 물론 교육정책을 총괄한다.교육정책을 사실상 좌지우지 하는 것이다.

아이들의 장래를 결정하는 교육감선거가 무관심속에 치러져서는 안 된다.후보자들은 좀 더 적극적으로 유권자들에게 다가서기 바란다.현재 이뤄지고 있는 교육정책에 오류는 없는지,타 시도와 비교해 뒤쳐지는 점은 없는지 꼼꼼히 따지고 분석해 대안을 제시해야한다.교육현장에서는 학력과 입시문제를 놓고 여전히 찬반 논란이 거세다.경쟁 우위의 입시교육을 배제할 수 없고,인성교육을 등한시 할 수도 없다.치열한 경쟁사회에서 협력과 상생만 강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교육감 선거에서 이런 의제들이 충분히 논의되고 걸러져야 한다.그래야 더 좋은 교육,더 나은 정책을 펼칠 수 있다.

이번 교육감 선거는 남북,북미 정상회담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둘러싸여 정책 이슈가 실종될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각 후보들은 과거보다 더 치열하게 선거에 임해야 한다.강원교육이 안고 있는 현안을 중심으로 의제를 발굴해야 한다.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강원교육기반은 뿌리 채 흔들리고 있다.농산어촌의 소규모학교는 언제 폐교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교사들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찾아 강원교육을 등지고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학력에 의구심을 갖는다.후보자들은 이런 여러 문제들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