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시작된 날,감자가 배달됐습니다.하지 감자.먹지 않아도 배가 부릅니다.감자를 보낸 지인은 “비가 오기 전에 서둘러 캤다”며 부드럽고 찐득한 수미감자라고 설명했습니다.사실,요즘 재배되는 감자는 껍질이 얇고 수분이 많은 ‘수미감자’가 주류지요.삶거나 쪘을때 껍질이 터지며 푸슬푸슬한 느낌을 주는 ‘남작’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추백,조풍,대서 등의 품종이 있긴 하지만 자세히 알 필요는 없겠지요.입맛에 맞는 감자를 고르면 그뿐.참고로 페루의 국제감자연구소는 7000여 종의 감자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감자의 역사는 밝음보다는 어둠,풍요보다는 가난으로 점철돼 있습니다.남미 안데스 산맥 고산지대에서 유럽으로 건너온 감자는 악마의 식물,사악한 음식으로 취급될 정도로 냉대를 받았습니다.프로이센 농부들은 “냄새도 없고 맛도 없어 개도 안먹는다.개조차 맛이 없어 먹지 않는 감자를 우리가 먹어야 하느냐”며 재배를 거부하기도 했지요.우여곡절 끝에 ‘빈자의 음식’으로 각광받았지만 1845년 감자잎마름병이 번져 아일랜드 대기근(Great Famine)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우리에게도 감자는 ‘가난’의 이미지로 다가옵니다.김동리의 소설 ‘감자’를 읽다보면 금방 눈치 챌 수 있지요.작가는 빈민촌에 사는 복녀가 감자를 훔치려다 매춘에 빠져들고 결국은 목숨을 잃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그리고 있습니다.무엇보다 소설속 ‘돈 계산’ 장면이 눈에 띕니다.복녀의 몸 값 팔십원,일하지 않고 얻은 사십 전,왕 서방에게서 받은 1~2원.모두 인신매매와 매춘의 대가입니다.복녀가 가난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요?왕서방의 감자밭에서 ‘도둑년’으로 잡히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겁니다.매춘도 없었을 테고.

최문순 도지사가 3선에 성공하며 ‘감자시대’를 선언했습니다.한반도 평화 이니셔티브를 선도하겠다며 새로운 비전을 밝힌 것이지요.감자 시대,그의 꿈은 크고 원대합니다.하늘 길,땅길,뱃길을 모두 열어 남북을 잇는 공공인프라 구축사업을 벌이겠다는 것입니다.마식령,금강산을 공동개발하자는 구상도 내놨습니다.이 말,믿어도 될까요?최 지사는 감자시대에 앞서 ‘소득 두배,행복 두배’를 강조했습니다.그러나 지난 7년,달라진 것은 별로 없습니다.감자는 장마가 오기 전에 캐야 합니다.때를 놓치면 썩어버리지요.감자시대에 강원도의 가난이 종말을 고했으면 합니다.

강병로 논설위원 brkang@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