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책 찾지 못하면 생존 불가능,냉혹한 현실 직시해야

더 이상 기댈 곳이 없다.대학구조개혁의 밑그림이자 살생부로 불리는 대학 기본역량 1단계 진단 결과에 대해 교육부가 ‘원칙’을 고수했다.한라대와 상지대,경동대,강릉영동대,송호대 등 도내 9개 대학 포함 전국 60개 대학이 요청한 1단계 잠정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교육부가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이에 따라 4년제 대학들은 오는 11일까지,전문대학은 오는 12일까지 2단계 평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비록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2단계 평가에서도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정원 감축 등 불이익이 불가피하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추진되는 대학구조개혁은 그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그 중 하나가 비수도권에 집중된 ‘지방대학 죽이기’다.실제로 2015년 실시된 제1주기 구조개혁평가에서 수도권 대학의 73.6%가 A·B등급을 받은 반면,강원도와 호남·충청권 대학 상당수가 D,E 등 낮은 등급을 받았다.정원 감축 비율에서도 수도권대학은 3.12%에 머물렀으나 비수도권 대학은 7.10%로 2배 이상 높았다. 올해 시작된 2주기 평가에서도 정원 감축 대상인 ‘자율개선 탈락 대학’ 41곳 중 36곳(87.8%)이 지방대학이었다.

1,2주기 대학구조개혁이 진행되면서 도내 대학이 느끼는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수도권 대학과의 경쟁에서 밀리는데다 대구·경북·충청 등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이번 2주기 평가에서도 강릉원주대와 강원대,강원도립대,한림대 등 4~5개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들이 ‘예비자율개선대학’에서 제외됐다.안타까운 것은 강원권대학들이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줄줄이 밀린다는 것이다.충청권역과 묶여 진단을 받은 전문대의 경우 충청권은 모두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포함된 반면 강원권 전문대는 2개교에 그쳤다.

이번 2주기 평가를 통해 도내 대학의 위상은 명확히 드러났다.정부의 구조개혁 의지도 확고하다.교육부는 2주기(2018∼2020년) 구조개혁을 통해 5만명,3주기(2021∼2023년) 7만명 등 1~3주기 구조개혁을 통해 총 16만명의 정원을 줄일 방침이다.학령인구가 줄면서 당장 내년도 입시부터 대입 정원이 고교 졸업자 수를 초과,정원감축은 필연적이다.대학 스스로 규모를 줄이지 않으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지방대학을 살려야 한다는 당위만 갖고는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자구책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