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비전·대학의 활로를 열 제3의 길 모색할 필요

대학과 지역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다.대학이 받는 평가는 곧 지역의 평가를 대체한다.교육은 정주여건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다.주거와 일자리,의료 인프라와 아울러 교육환경은 삶의 터전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이런 점에서 최근 강원 도내 소재 대학의 위상과 고민은 곧 강원도가 처한 당면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

오늘날 대학이 위기라고 한다.물론 이것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우리나라 모든 대학이 직면한 공통의 문제일 것이다.저출산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이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는 대학이 처한 불가피한 현실이다.대학이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다양한 대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기본적·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는 것이다.이전과 같은 문제의식과 접근방식으로는 해답을 찾을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대학의 양적 조정이 불가피하고 실제로 대학이 문을 닫는 일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대학은 한 지역의 교육거점으로,한 걸음 나아가 지역의 싱크탱크 기능을 통해 총체적 구심점을 역할을 하고 있다.우리나라의 모든 대학이 이런 역할을 충실히 해왔는가 하는 평가와는 별개로 대학이 사라지거나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은 지역 전체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대학의 퇴조는 지역의 손실과 위기로 연결돼 있다.

실제로 지난해 동해대가 구조조정과정에서 폐교가 결정돼 문을 닫았다.대학은 지금까지의 체질과 관행을 유지하게 어렵게 됐고,그래서 뼈를 깎는 개혁이 불가피하다.물론 구조조정과정에서 대학과 지역사회에서 지닌 특수성이 감안돼야 한다.즉 교육외적인 다양한 영향을 감안 그 충격을 줄이는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시장논리에 의거해 대학의 일방적으로 그 존폐가 결정되는 것은 또 다른 후유증을 낳게 될 것이다.

정부의 정책적 고려와 대학의 자구노력이 병행돼야 살 길이 열릴 것이다.이 과정에서 대학과 지역사회의 역할이 달라져야 한다.대학이 지닌 연구역량과 교육인프라가 지역사회와 좀 더 긴밀하게 연동돼야 한다.이런 주장과 움직임은 이전에도 있어왔지만 그저 당위성을 거론하고 마는 수준에 머물렀다.대학은 지역사회를 위한 실질적 기여 방안을 찾고 지역사회는 이런 자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강릉시가 ‘대학상생발전협의회 설치 및 운영조례안’을 오는 20일 시의회에 상정할 것이라고 한다.지역 소재 대학과 자치단체가 좀 더 긴밀한 협력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것이다.이런 노력이 선언적 수준에 그치고만 이전의 전철을 밟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강릉시와 지역대학이 새로운 상생 협력의 모델을 만들길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