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일을 하면서도 느꼈지만 최근 춘천시민정부준비위원회 복지분야의 활동을 하면서 더욱 드는 생각이다.장애인을 보통사람의 범주에서 제외하지 말아달라는 것이다.아동과 청소년,노인복지를 이야기할 때 근로자들의 최저임금을 이야기 할 때도 장애가 있다고 별도의 분리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생각부터 바꿔야한다.물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회복지 대상자들과 조금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하지만 지금의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정책은 장애를 입는 순간 내가 살던 집과 학교,이웃과 단절되고 분리된 삶을 살게 된다.장애인복지의 최대 목표는 보통의 삶을 사는 것이다.그러나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현실을 들여다보면 우리가 추구하는 장애인복지정책과 실제의 장애인복지정책이 얼마나 모순됐는지 알 수 있다.또한 현재의장애인복지정책은 이들에게 수많은 상실감을 안겨준다.건축물을 설계하고 도로를 정비할 때 혹은 모두가 이용하는 공원을 조성할 때도 장애인을 고려하지 않은 높은 턱이나 자갈길,나무도로가 얼마나 많은가.

최근 춘천시에서 조성하고 있는 키즈 파크 역시 마찬가지다.장애인이 이용하기에 쉽지 않은 설계가 눈에 띈다.이곳은 장애인 아동은 물론 장애를 가진 부모가 아이를 데리고 갈 수도 있다.이용자를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설계가 필요하다.장애인들은 장애인전용체육관과 장애인전용평생교육시설 등 그들만의 ‘전용’을 요구한다.기존 시설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면 이런 요구 또한 없을 것이다.장애인들도 보통구성원으로 살아가기를 추구하면서도 장애인 스스로가 분리된 정책에 익숙해져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현재 춘천시민정부위원회가 여러 분야의 정책을 새롭게 준비하고 있다.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비장애인과 같은 보통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보통의 좋은 정책이 설계되길 바란다.

박영림· 춘천늘해랑보호작업장 원장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