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까지 38개 대학 사라져,대학·지자체 대책 세워야

오는 2021년까지 도내 대학 포함,약 38개 대학이 폐교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교육부는 엊그제 배포한 ‘국회 교육위 보좌진 업무 설명 자료집’을 통해 2018학년도 대학정원 48만3000명을 기준으로 했을 때 2021학년도에는 5만6000여명의 미충원이 예상된다며 대학 폐교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교육부는 특히 대학 폐교시 교직원의 실직과 체불임금 등 사회적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법규 정비가 필요하다고 했다.교육부의 이 같은 전망은 예상했던 그대로다.지속적인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정원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문제는 그 시기가 훨씬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대학 구조조정 뿐 아니라 폐교이후의 대책까지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

강원도는 이미 대학 폐교라는 현실과 마주하고 있다.한중대가 지난 2월 폐교된 것이다.지역사회와 학교구성원이 나서 폐교사태를 막으려했지만 역부족이었다.폐교이후 지역사회가 겪는 고통은 심각하다.교직원의 대량 실직에 이어 학교 주변의 공동화,재산가치 하락 등 그 여파가 2중3중으로 겹친다.학교시설 관리도 간단치 않다.한중대의 경우 시설과 부지가 넓고 접근성이 떨어져 매각 등 청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학교시설이 장기 방치되면서 우범지대화 등 사회문제도 제기된다.지역사회가 총체적인 어려움에 빠져든 것이다.

한중대 폐교와 그 이후 상황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도내 대학과 지역사회가 반드시 짚어야 할 부분이다.낙관은 금물.지금까지의 대학 평가와 경쟁력을 보면,도내 대학의 미래를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각종 지표가 이를 뒷받침 한다.지역사회의 냉정한 판단과 그에 따른 대책이 요구된다.지난 6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에서 연세대원주캠퍼스와 한라대,가톨릭관동대,경동대,상지대 등 4년제 대학 5곳과 상지영서대,강릉영동대,세경대,송곡대,송호대,강원관광대 등 전문대 6곳이 2단계 평가대상에 포함됐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교육부는 대학 폐교에 따른 대책으로 ‘폐교대학 종합관리센터’를 한국사학진흥재단 내에 설립,운영할 방침이다.센터의 역할은 교직원 체불임금 정리,해산법인 청산지원,폐교교원 연구활동 지원 등이다.지금은 낯설지 모르지만 도내 대학도 언젠가는 이런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스스로 경쟁력을 갖춰 살아남지 못하면 부실대학 지정에 이어 폐교 수순을 밟게 되는 것이다.도와 지자체,대학 등은 이 모든 상황을 고려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