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공영제 도입 과제· 전망
도내 8개 업체 노조 요구
도·지자체 예산부담 부정적
“강원도형 교통체계 마련해야”

최근 버스업계 노조를 중심으로 버스공영제 도입이 공론화되면서 강원교통의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춘천을 비롯한 도내 5개지역 8개 버스업체 노조는 올들어 사측과 해당지역 자치단체를 상대로 시내버스 완전공영제 도입을 요구하며 파업 등 강경행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춘천의 유일한 시내버스업체인 대동·대한운수 노조는 이달현재 공영제 도입을 내세워 모두 7차례 파업을 진행했으며 사측도 부분직장폐쇄로 맞서며 극한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원주,영월,평창 등에서도 기사들의 처우개선과 함께 버스공영제 시행을 놓고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버스공영제 도입의 키를 쥔 강원도와 자치단체는 현재 민영제로 운영되는 시내버스운영을 공영제로 전환할 경우 예산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도는 지난 2016년 시행한 용역결과를 토대로 민영제와 완전공영제를 혼합한 준공영제 도입시 첫해 763억원를 시작으로 5년뒤에는 900억원 가량의 재정지원금이 투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이 때문에 버스공영제는 국비 지원 등을 통한 재정부담 완화방안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도입되기 쉽지 않다는 여론이다.다만,정선군은 도내 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공영제 도입에 적극적인 입장이어서 주목된다.군은 내년 3월까지 용역결과와 일부노선 시범운영을 토대로 버스공영제를 시행할 계획이어서 성공여부에 따라 타 지자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홍창의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벽지노선과 노인층이 많은 강원도 교통여건을 면밀히 분석해 맞춤형 버스운영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왕근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