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진압 위한 비상소방장치함
화재시 사용방법도 전달 못받아
자물쇠로 잠겨 있어 주민도 몰라
소화장치 15곳 중 11곳만 설치

4일 오후 3시30분쯤 춘천 효자동의 한 주택밀집지역.교회와 주택가 등이 밀집해 있는 이 일대는 대형 소방차 진입시 회전이 어렵다는 이유로 소방차 진입불가 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이 때문에 소방당국은 이곳을 소방차 진입불가 구역으로 지정하고,혹시모를 화재발생시 소방차 진입 전 초기진압을 위해 골목 입구에 소화전과 함께 소방호스를 넣어놓은 비상소방장치함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취재진이 확인한 결과 비상소화장치함은 굵은 자물쇠로 잠긴 채 방치돼 있었다.비상소방장치함 설치를 인식하고 있는 주민들도 많지 않아 화재초기 신속하게 활용하기도 쉽지 않아 보였다.동네 주민 남모(83·여)씨는 “20년 넘게 이곳에 살았지만 자물쇠로 잠겨있는 이 보관함이 소방호스 보관함인지 처음 알았다”며 “화재가 나도 어떤 식으로 사용해야 되는지 전달받은 적도 없다”고 말했다.

이 처럼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화재 취약지역에 주민들이 초기대응할 수 있도록 소방당국이 설치한 ‘비상소화장치함’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대부분 자물쇠로 잠겨 있어 정작 화재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도소방본부에 따르면 도내 소방차 진입불가·곤란구간은 원주 7곳,춘천 3곳,화천 2곳,삼척·횡성·인제 각 1곳 등 모두 15곳(총 길이 4477m)이다.

대부분 주택가가 밀집한 주거지역(9곳)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상업지역(3곳)에 지정돼 있다.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지역에는 초기 화재진압을 위해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도내에서는 전체 15곳 중 11곳(73.3%)만 설치돼 있다.이마저도 한대씩만 설치된 곳이 많아 화재시 초기진압실패로 대형피해도 우려된다.도소방본부 관계자는 “매년 예산을 들여 비상소화장치함 등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화재초기대응을 위해 해당 구간에 대한 소방훈련과 비상소화장치함의 홍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종재·박가영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