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노력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시대나 국가가 처한 상황에 따라,영역별로 전개되는 방식과 내용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공공기관이 환경 정책과 제도를 전달하는 방식은 어느새 유연해졌다.‘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무단투기 시 형사 고발함’,‘자원을 절약합시다’ 같은 명령 문구나 무미건조한 호소에서 벗어나 잠시라도 되새겨볼 여운을 남기는 환경 공익 메시지도 늘고 있다.이렇게 공공기관은 ‘무엇’을 전달할지보다 ‘어떻게’ 전달할지에 더 초점을 둬야 한다.왜 그럴까.첫째 환경의 중요성은 대다수가 당연히 인정하는 일종의 규범이어서 통제와 강요로는 인간의 자발성에 역행해 자칫 반발심을 불러올 수 있다.둘째 통념과 달리,인지능력의 한계와 허약함 등으로 인간은 항상 합리적으로 행동하지는 못한다.셋째 기업 등 사적 주체도 소비자의 감성과 성향,체험에 바탕을 둔 마케팅 기법을 공익과 연계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실현에 활발히 기여한다는 점이다.

단순한 정보 제공부터 사회를 위한 희생정신 배양까지,공공기관이 개인에게 주는 사회적 가치의 범위는 매우 넓다.개인의 행동 뒤 숨은 의도와 본심을 직감적으로 찾아내려는 개념 도구가 점점 주목받고 있다.공공기관도 이런 방법론에 관심을 가지고,수요자의 본성과 경험을 고려한 정책 을설계해야 한다.

고승근· 한국환경공단 강원지사 제도운영팀 과장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