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장 사후관리·올림픽 유산 정부 관심 전무 ‘경착륙’ 우려

지난 2월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원년이 끝나가고 있다.강원도의 오랜 염원과 우리나라의 국격(國格)이 걸린 메가 이벤트였다.평창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행사가 아니라 강원도 정도(定道) 600년의 최대 변곡점이 될 만큼 다양한 의미와 파급을 지닌 행사였다.아마도 평창 동계올림픽이야말로 가장 오래 공을 들이고 준비한 대회였고,동시에 가장 올림픽 외적 파급력이 강했던 올림픽으로 기록될 것이다.그러나 이런 의미와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과연 우리가 그 올림픽의 의미와 효과를 제대로 살리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크다.

돌이켜보면 올림픽 직후 강원도와 대한민국은 특유의 무서운 집중력을 보여줬다.막판까지 시간에 좇기고 유동적인 상황이 많았지만 그 어려운 고비들을 모두 극복했다.이를테면 막판까지 분산개최론이 불거졌고 개·폐회식 장소 문제도 갈 길 바쁜 걸음에 걸림돌이 됐다.그 난관을 넘어 역대 최대 규모의 올림픽을 치렀고,지구촌이 감동하는 무대를 연출했다.이처럼 엄청난 비용과 열정을 쏟아 부어 동계올림픽을 성공시켰으나 그 이후의 대응과 조치는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올림픽을 치르면서 보여줬던 단합과 열정,지혜는 다 어디로 갔다는 말인가.

특히 총론적으로 정부의 올림픽이후에 대한 인식과 조치는 실망을 넘어 우려를 갖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올림픽과 같은 거대이벤트는 결국 국력의 총합일 수밖에 없고,그 효과는 보름여의 특정된 대회기간에 실현되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올림픽을 준비하고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르고,대회이후 그 효과를 활용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이런 점에서 스포츠대회로서의 올림픽은 끝났지만 강원도나 국가의 올림픽은 진행 중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그러나 지금 정부는 뒷수습을 않은 채 서둘러 전면 철수를 한 것이나 다름없다.

올림픽 원년이 며칠 남지 않았고 1개월여 뒤면 평창올림픽 1주년이 된다.올림픽성공을 자축하고 유산계승에 다시 한 번 지혜를 모아야할 때다.그러나 영광은 간 데 없고 갈등과 원망의 소리만 높아간다.정선가리왕산 활용,경기장 사후관리,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 개최 문제를 비롯한 주요현안에 정부와 강원도가 사사건건 충돌한다.의견이 다를 수 있다고 보지만 근본문제는 올림픽이후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비경제적 발상이다.올림픽 효과를 강원도에 착근(着根)시키지 못하면 결국 정부의 책임과 부담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