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6억 투입 일자리 단기 양산, 기업저변 확대 대안 절실

강원도가 평창올림픽을 치르면서 기대했던 효과 가운데 하나가 산업발전일 것입니다.올림픽을 통해 도로·철도와 같은 낙후된 산업인프라를 개선하고,지역경제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지난해 2월 평창올림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지만 과연 지금 우리가 올림픽의 후방효과를 살려내고 있는지 성찰해봐야 하겠습니다.올림픽의 경제성을 따지는 것은 단순한 대회 수지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닐 것입니다.올림픽을 계기로 얼마나 사회간접자본이 개선됐으며,이것이 앞으로 어떤 폭발력을 보일지도 계산에 넣어야 합니다.

이런 점에서 지난 1년 우리사회가 올림픽 효과를 각 분야에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돌아볼 시점이 된 것 같습니다.당장 우리나라가 당면한 최대의 화두인 일자리문제가 평창올림픽과 어떤 함수를 갖는지 봐야겠습니다.올림픽을 통해 강원도에 관련기업과 입주하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었으면 하는 기대가 컸을 것입니다.여기에는 강원도의 전통산업인 농·어업이나 관광 같은 전통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전망을 확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그러나 결론적으로 이런 기대와 현실 사이에 ‘미스매치’가 드러난다고 합니다.

일차적으로 최첨단을 자랑하는 경기장이 과연 얼마나 지역의 산업이나 관광과 접목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과연 그런 전향적인 노력과 시도가 있는지 조차 회의를 갖게 합니다.일자리와 새로운 미래 먹을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정부도 엄청난 유무형의 올림픽인프라를 활용하는 데는 관심이 없어 보이는 것입니다.본지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강원도와 각 시·군 일자리사업에 80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는데 효과에 문제가 드러납니다.기업 취업과 같은 지속가능한 민간일자리 극히 창출은 미미하고 대부분이 단기성 일자리사업에 쓰였다는 것입니다.

물론 재정이 투입되는 일자리 예산이 공공근로와 같은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효과와 의미가 간과돼서는 안 됩니다.그러나 엄청난 재정이 투입되는 일자리예산이 지속가능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고 자생력을 갖도록 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입니다.지난해 도내에서 12만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됐는데 기업유치를 통한 민간부문 일자리는 1226개에 불과,전년도에 비해 5552개(81.9%)가 줄었다고 합니다.지금쯤 이런 곳에서도 올림픽의 산업적 기여가 확인돼야 정상입니다.내달 초 올림픽 1주년을 맞지만 이벤트성 행사가 공허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