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전문기술 인력 양성위한 아카데미 설립”

백영미┃강원연구원 성장동력연구부 부연구위원


도 기업유치정책이 다른 지자체의 전략과 다를 바가 없다.강원도만의 특화된 전략을 세워야 한다.가업승계기업에 대한 적극적 유치를 제안한다.후계자에게 물려주는 과정에서 기업이 상속세,이전세 등 많은 세금을 부담하고 있다.그래서 폐업 신고를 하고 재창업하기도 한다.이런 기업에 대해 법인세를 감면해주면서 도내에 유치하면 규모와 안정성에서 비교우위가 있는 기업을 확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강원도에 양질의 기업이 유치되지 못하는 건 기술을 가진 인력이 없기 때문이다.강원도에 IT관련 인력이 많다면 관련 기업은 자연스럽게 강원도로 오게 될 것이다.유망업종인 소프트웨어,AI 등에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아카데미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인적 투자가 우선돼야 하는데 그동안 이런 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악순환이 계속됐다.

KIST, UNIST 등 과학기술대학이 있어 인력 수급이 용이한 대전과 울산은 자연스럽게 관련 산업이 발전했다.강원 지역도 배후 단지에 과학기술대학을 신설하고 천연자연을 활용한 바이오산업을 주산업으로 설계해 인력 양성소를 갖춰야 한다.그래야만 인재에서 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천편일률 탈피 도 특성 맞는 기반산업 개척”

장순희┃강원대 삼척캠퍼스 공공행정학과 교수


기업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은 모든 지자체가 다 하는 천편일률적인 방식이다.강원도의 특성에 맞는 기반 산업을 개척하고 유망한 기업을 보는 눈이 필요하다.지자체장이 바뀌더라도 탄탄한 정책 방향 아래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기업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지역 대학과 토론회를 개최하고 문제를 공론화하는 자리도 필요하다.

지자체의 기업유치 정책도 큰 틀에서는 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이다.수도권 집중적인 현 구도에서 지역,특히 강원도에 대해 규제를 적극적으로 완화해야 도내에 기업을 유인할 수 있다.수도권과 격차가 심한 현재는 같은 조건이라면 기업이 수도권으로 가는 게 당연하다.

그리고 유치 이후에도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통해 유치 효과가 해당 지역으로 옮겨올 수 있게 해야 한다.소득이 관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돈이 지역 내에서 돌아야 경기가 함께 산다. 정리/권소담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