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개선 불구 인구감소 지속, 일자리 ‘지지대’ 관건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도내 3각 거점인 춘천 원주 강릉에 모두 고속도로·복선전철이 운행,서울을 1시간대에 오가는 시대가 됐습니다.획기적 변화입니다.엊그제(29일)는 정부가 2019 국토균형발전 프로젝트 추진방안을 발표했습니다.오는 2029년까지 10년 간 24조1천억 원 소요되는 23개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을 확정한 것입니다.비수도권의 사회간접자본이 크게 확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경기도 남양주(화도)에서 춘천을 잇는 31.3㎞의 제2 경춘국도사업도 여기에 포함돼 철도·고속도로·국도의 입체적 교통망을 구축하게 된 것입니다.

오랜 숙원 해결은 반가운 일이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이제는 철도와 고속도로,지방도가 각각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단절·누락된 구간을 복원하는데 관심을 둬야할 것입니다.제2 경춘국도 추진의 배경을 살펴보면 이후의 방향성이 보다 분명해 질 것입니다.제2 경춘국도가 강원도가 추진한 사업이긴 하지만 수혜의 측면에는 서울·경기를 포함한 수도권 현안이라 해도 무리가 아닐 것입니다.주말마다 상습체증으로 불편을 겪는 대부분 이용객이 수도권주민일 것입니다.포화상태에 이른 수도권의 교통압력을 해소하는 의미가 크다는 것입니다.

필연적으로 제2 경춘국도 사업과 아울러 춘천~속초 간 고속화철도가 속도를 내고 춘천~철원 간 중앙고속도로의 연결 사업이 동일선상에서 이뤄져야할 것입니다.나아가 강릉~고성 제진 간 동해선철도를 복원함으로써 수도권 과밀문제를 해소하고 통일과 북방시대를 여는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그러나 이 같은 교통망 확충이 접근성을 해소하는 지역의 교통 민원을 해결하는 선에 그쳐서는 곤란합니다.궁극의 목표는 국토균형발전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입니다.바로 강원도의 발전과 도민의 실질적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단정하기는 이르지만 이런 접근성 개선에도 불구 강원도의 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은 또 다른 과제를 던져줍니다.통계청 발표에 따른 지난해 강원도인구는 3854명이 순유출 됐다고 합니다.지난 1년 전입 인구가 7만6312명인데 비해 전출 인구는 8만166명으로 집계됐다는 것입니다.특히 20,30대의 청년층의 이탈이 두드러졌다고 합니다.정부의 국토균형정책이 성공하려면 접근성 개선과 아울러 지역의 산업거점 확보가 중요합니다.새로운 교통망 시대에 맞물린 신산업거점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강원도와 자치단체도 이제는 교통망 개선 이후를 대비할 때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