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봉 행정학박사 한국문화예술위원

▲ 김기봉 행정학박사 한국문화예술위원
▲ 김기봉 행정학박사 한국문화예술위원

지역문화정책의 핵심 가치는 공동체성 회복이다.공동체성은 연대와 배려다.급속한 경제성장은 그 대가로 우리 사회에 엄청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대표적인 것이 지방소멸과 공동체 해체다.3만 불의 경제성장의 결과는 그에 못지않은 부정적인 문제와 심각한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경제적으로는 풍요로워졌지만 양극화로 인한 계급·계층 간의 갈등과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문제 등을 야기하고 있다.문화는 특정 공동체 또는 인류사회가 축적해 온 가치,신념,관습,예술,종교,학문 등을 포괄한다.왜 사느냐,어떻게 살아가야 하느냐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그 답을 찾아간 과정의 결정체다.‘더불어 함께 잘 살자’가 ‘각자도생’의 극한 경쟁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상호 간의 불신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불안과 불편을 양산하고 있다.

모든 문제를 돈과 권력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문화가 일상이 되고 있다.우리가 지역문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단순히 문화 활동과 사업을 활성화하자는 것만이 아니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웃의 발견이다.바로 공동체 회복이다.공동체성을 우리 문화의 알갱이로 되살려내자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 해체된 커뮤니티를 복원하거나 도시재생 등을 통해 삶의 지속성을 이어가자는 것이다.지역문화정책의 목적과 방향은 바로 자발성과 자율성에 근거한 공동체 문화에 두어야 한다.그 과정에서 문화와 예술의 미션(소명)이 있다고 본다.한국예술정책의 목적과 방향은 우수한 작품과 작가 및 단체를 지원해 문화예술의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수월성 향상에 있을 것이다.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선 지역문화와 예술을 지역발전 전략이나 수단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우세하다.그러다보니 시설 건립 같은 과시성 사업이나 축제나 이벤트 같은 선심성 사업에 공적 예산이 집중된다.

‘사람이 있는 문화’는 문화의 주체가 사람이라는 것을 환기시켜주는 역설적인 구호다.성장 과정에선 정부는 부족한 문화시설이나 공간을 확충하고 보다 많은 문화 사업들을 통해 활성화시켜야 할 역할과 기능이 있다.그러나 이제는 소득 3만 불에 적합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를 되돌아봐야 할 시점이다.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의 위원으로 재임하면서 각종 공모사업에 지원하는 지역의 문화예술인들과 단체들의 절박함을 읽고 있다.얼마 전에 ‘신나는 예술여행’과 지역관련 공모사업의 심의 결과를 보면서 안타까움보다 아픔을 느꼈다.저들의 손을 잡아주고 싶은 마음과 그럴 수 없는 주어진 현실(예산)의 한계 때문이다.예술위 지원 사업에 선정되는 것을 로또 당첨에 비유하는 현실이 존재하는 한 지역의 예술생태계는 선순환할 수 없다.이제 더 늦기 전에 중앙정부와 예술위 그리고 지방정부와 지역 문화재단 간의 사회적 대토론을 진행해야 한다.수월성과 공동체성에 대한 지원 기준을 정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야 한다.그리고 상호 간의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