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 개편 때마다 사라지는 강원
선거제 개편안서 수시 권역 변경
지리·행정구역 공통점 없이 묶여
도내 정치인 구체적 대응안 부재

선거제 개혁의 핵심으로 떠오른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 논의 과정에서 강원도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수도권과 충청권,대구경북권 등 인접 광역권과 통합되는 안이 제기,강원도 존재감이 상실되고 있다.

20일 도정치권에 따르면 비례대표 배정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와 여야 각 정당,국회의원들이 내놓은 선거제 개편안에서 강원도만 유일하게 권역 설정이 수시로 바뀌고 있다.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비례대표제를 배정할 권역 설정에서 강원도를 인천·경기와 수도권으로 묶었던 반면 여야 4당 합의안은 충청과 함께 포함,“강원도 권역의 정체성은 도대체 어디에 있느냐”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앞서 국회의원별로 발의한 선거법 개정안에서도 강원도의 위치는 모두 다르다.김상희 의원 발의안을 보면 최근 합의안과 같이 강원을 대전·세종·충북·충남에 묶었으나,박주민·소병훈 의원 안의 경우 중앙선관위 안과 마찬가지로 인천·경기과 같은 권역에 포함시켰다.정치적 편의에 따라 수도권과 충청권,대구·경북권 등 도 경계를 맞대고 있는 광역 지자체와 연동되는 처지로 전락한 것이다.

이같은 안 모두 생활권은 물론 지리·역사적 공통성,행정구역 등에서도 동떨어져 있는만큼 강원도의 희생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여야 4당의 합의안에서 강원과 충청을 묶어 10석을 잠정 배정했다고 알려진 것도 충청권 중심의 득표율 계산의 결과라는 게 도정치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도내 총선 입지자들은 물론 도내 국회의원실 보좌진,정당 관계자들이 배정 가능한 의석 수 계산에 들어갔지만 구체적 전망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도정치권 관계자는 “권역 구분 근거 자체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은 학계에서도 나오고 있다.현재 합의안도 충청을 중심으로 각 당이 내부적으로 계산기를 두드려 본 결과일 것”이라며 “지역의 자존심 문제는 물론 강원도 의석 전망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실무적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김여진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