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늘리는 만큼 사용 편의성도 증대 노력 필요

정부가 소상공인들을 위해 만든 간편결제 서비스인 ‘제로페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맹점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지난 2일부터 CU,GS25,세븐일레븐,미니스톱,아마트24 등 도내 1884개 편의점을 비롯해 전국 4만3000여개에 달하는 편의점에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5일부터는 대보유통에서 위탁운영 중인 25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도 제로페이 결제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앞으로 전국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와 KTX역사에도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중기부는 제로페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상품권 경품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음달부터는 분기별로 인증샷 이벤트도 벌일 예정입니다.서울시는 2일부터 85개 공공시설에서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이용료를 할인해주고 있으며 경상남도 역시 도립미술관 등에서 이용료 할인을 하는 등 전국 자치단체들도 제로페이 이용률 높이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제로페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가맹점 늘리기에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소비자 편익이 적고 결제 절차가 번거로워 실제 사용 실적은 높지 않습니다.고객이 상점의 QR코드를 찍고 결제금액을 직접 입력한 뒤 결제비밀번호를 눌러 실시간 계좌이체를 하는 방식에서 고객이 가맹점에 QR코드나 바코드를 보여주는 ‘소비자QR’방식으로 개선했지만 결제에 앞서 은행 앱 등 로그인 절차를 거쳐야 하고 가맹점주들도 결제방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 매출 5∼10억원의 신용카드가맹점은 결제금액의 1.4%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제로페이는 이같은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는데도 이용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는 건 다른 간편결제 서비스보다 소비자 편익이 크지 않은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신용카드 회사들은 포인트 등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으며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등은 간편함으로 승부를 걸고 있는데 제로페이는 소득공제 이외에 소비자 유인책이 마땅치 않습니다.정부와 자치단체는 제로페이 가맹 점주와 소비자 양쪽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양한 정책을 적극 발굴해야 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