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계하천 부유물 기준치 넘어, 다른 지역도 점검해야

지난 1996년 이후 대형산불로 분류된 13건 중 이재민 규모로는 가장 크고, 산림피해 면적으로는 2000년 4월 동해안 4개 시군 산불(2만3138㏊)과 1996년 4월 고성 산불(3782㏊)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인 동해안 산불(4월4~6일)이 발생한 지 한달이 지나면서 2차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대형산불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3.6배에 달하는 1033㏊ 산림이 잿더미로 변한 강릉 옥계지역에서 하천 부유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합니다.강릉시가 산불발생이후 옥계면 중심하천인 주수천 일원에 대해 수질검사를 했더니 부유물질은 6.4~37.3ppm으로 기준치 25ppm을 넘었으며,수중 pH(수소이온농도)도 7.5~8.2ppm으로 측정돼 기준치인 5.5~8.8ppm에 거의 근접했습니다.

집중호우나 태풍이 발생하게 되면 피해지역 산림에 있던 재와 잔가지 등이 부유물로 변해 하천과 해양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졌습니다.집중호우때 불에 탄 재는 지표면에 2~3㎝ 정도만 쌓여도 불투수층을 형성,수분의 토양 침입을 차단해 산사태 발생 우려가 있습니다.특히 잿물로 변하면 알칼리성으로 독성을 띠기 때문에 하천이나 해양으로 다량 유입될 경우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고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등의 2차 피해가 발생합니다.

이번 동해안 산불은 강릉 뿐만 아니라 고성(897㏊), 속초(330㏊),동해(227㏊),인제(344.93㏊) 등 5개 시·군에서 축구장 4000개에 육박하는 2832㏊의 산림을 태워 없앴습니다.여기서 나온 재와 긴급 벌채 등으로 생긴 나뭇가지 등이 한꺼번에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면 수중 pH를 높게 형성해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잿물이 하천이나 해양에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산불피해 지역 자치단체들은 오탁방지막 설치 등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피해지역이 넓어 효과는 미지수라는 지적입니다.특히 동해 망상일대는 복구예산 집행이 늦어지면서 폭우에 대한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자치단체의 노력이 우선이지만 복구비 조기 투입 등 관련 중앙부처의 신속한 대응이 절실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