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수거 체계 개편·자원순환형 매립지로 전환

▲ 춘천 폐기물처리시설
▲ 춘천 폐기물처리시설
강원 춘천시가 생활쓰레기의 급격한 증가에 비상이 걸렸다.

춘천지역 폐기물매립장의 사용 연한이 애초 예정된 2040년에서 현 상태대로라면 2028년으로 단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률이 79%에 달해 9년 뒤면 매립장 운영을 중단할 처지에 놓여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함께 처리하는 춘천지역 폐기물 소각용량도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하루 최대 처리용량이 170t가량이지만, 지난해의 경우 165t이 소각 처리됐다.

춘천시에 따르면 소각과 매립 쓰레기 발생량은 현재 하루 184t으로, 연평균 2.7% 증가율을 보인다.

2012년에 비해 인구수는 3.2% 늘어났지만, 쓰레기는 6년 만에 16.2%가 늘어났다.

춘천시는 현 상황대로라면 2030년 하루 253t, 연간 9만2천300t에 이를 것으로 추산해 애초 예상치를 훌쩍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지난해 하루 평균 64.6t이 발생, 시민 1명당 연 82.7kg이 배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활용품 배출은 2012년 하루 평균 20.8t에서 지난해 27.7t으로 크게 늘었다.

이 가운데 41%가량만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소각이나 매립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이재수 춘천시장은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2024년까지 생활쓰레기 절반 줄이기를 목표로 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특히 소각시설과 매립장 처리시설의 개선이 관심이다.

소각시설 현대화를 통해 시설 수명 연장과 잔재물 발생을 줄이고 보수 기간에 매립 쓰레기를 굴착, 다시 소각하는 순환형 매립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여나가 2022년부터 매립된 쓰레기를 다시 꺼내 재활용 분류와 소각을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각종 축제 등에 1회용품 사용 제로화, 종량제봉투 가격 현실화, 음식물류 폐기물 무선인식카드(RFID) 배출 확대를 통해 폐기물 발생 줄이기에 나선다.

또 배출과 수거 체계 개편도 추진한다.

지역별 배출 유형에 맞게 분리 배출함 설치를 늘리고, 클린 하우스와 재활용 동네마당 설치, 농촌지역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 재활용품 처리 전용차량 도입 등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재수 시장은 “향후 수년 내에 지역에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역 경제·사회 구조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등 2014년까지 생활폐기물 50% 줄이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