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문화재 제자리 찾기
<하> 문화재 환수 가능성 및 과제
범시민 운동 지광국사탑 성과
7점 관련기관 조율후 환수 전망
전문인력·시스템 구축 선행과제

지난 1985년 외지 반출 문화재 환수를 위한 범시민 운동이 시작된 지 무려 34년이 지나서야 반출 문화재 8점 중 1점인 지광국사탑(국보 제101호)의 환수가 결정됐다.보다 빠른 환수 결정도 가능했으나 원형 복원에 4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면서 늦춰질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다행히 나머지 7점의 외지 반출 문화재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복원과정이 필요치 않은 상황이다.때문에 문화재청과 원주시,국립중앙박물관 3자 간 의견만 조율되면 이들의 귀향은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원주시와 원주문화재 환수추진위원회는 지광국사탑에 이어 (전)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제104호),흥법사지 진공대사탑(보물 제365호),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 제190호),영전사지 보제존자탑(보물 제358호) 등 지역에 남아있는 탑비와 쌍을 이루는 석탑에 대한 환수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그러나 이 같은 환수 활동에도 불구,돌려받은 문화재를 온전히 보존할 인프라 없이는 더 이상의 환수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또 문화재 보관 장소를 박물관 또는 본래의 자리로 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도 환수 여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때문에 이들 문화재의 조속한 환수를 위해서는 환수 활동과 동시에 박물관 등 지속가능한 문화재 보존 공간 확보,관리 전문 인력 양성,균열 및 파손 등에 대비한 보호 시스템 도입 등 조속한 문화재 관리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또 환수 결정 과정에서 갈등이 없도록 사회적 합의를 통한 환수 문화재 보관장소 결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지방에서 국유문화재 보존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진다면 반출 문화재들의 지역 환수는 보다 긍정적으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불가능해 보이기만 했던 국보 지광국사탑의 환수가 모두의 노력 끝에 드디어 결정됐다.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다.‘원주 반출 문화재 제자리 찾기’ 이제 시작이다. <끝> 남미영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