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시설 시간단위 훈련비 지원 궁색, 전향적 자세를

지난해 2월 평창올림픽이 끝난 지 1년 반이 지났으나 경기장활용 문제는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엄청난 재원을 투자한 경기장과 관련시설을 놀린다는 것은 평창올림픽이 표방했던 경제올림픽과 배치되는 것입니다.보름 남짓한 특정기간의 경기를 위해 그 엄청난 경기장 시설을 지은 것은 아닐 것입니다.올림픽을 계기로 부족한 강원도의 사회간접자본도 확충하고 이를 계기로 강원도의 대표산업 가운데 하나인 관광과 연관 산업의 지속가능한 동반발전을 기대했던 것입니다.

이것은 개최지 강원도만의 구상이 아니라 국가적 목표가 돼야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그 첫 번째 관문은 바로 경기장시설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그러나 올림픽 개최 전에 결론을 냈어야 할 경기장 활용방안은 올림픽이 끝난 지 1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 매듭짓지 못하고 있습니다.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서둘러 결론을 내는 것이 차선책이 될 것입니다.지난해 11월 강릉과 평창의 올림픽경기장 3개 시설에 관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용역도 이 같은 노력의 일환일 것입니다.

최근 그 연구결과가 나왔는데 실망스럽기 짝이 없습니다.KDI는 최근 강릉 스피드스케이트장과 하키센터,평창 올림픽슬라이딩센터에 대한 사후활용 방안으로 국가대표의 훈련비를 지원하는 선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이런 결과를 내놓으려고 6개월여 뜸을 들인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강원도가 그동안 이들 경기장의 연간 운영비 부족분 40억 5000만원을 요구하고 강원도가 20억 원을 부담하겠다는 기본 입장과는 한참 거리가 있는 것입니다.

올림픽 시설 활용에 대한 정부 당국의 의지와 고민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결과입니다.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그 훈련비조차 1일 단위가 아니라 시간단위로 산정해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경기장 활용방안이라기보다는 어떻게든 발을 빼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정선의 알파인스키장 역시 여전히 활용이냐 복원이냐를 놓고 줄다리기 중입니다.엄청난 올림픽을 유산을 활용하는 문제에 왜 정부당국이 이처럼 방어적·수동적 태도로 일관하는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올림픽 후방효과를 이어갈 정부 당국의 자세 전환을 촉구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