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 의식 없이는 강원도 소외론 반복 재생산될 우려

최근 평창올림픽 관련 두 가지 사안이 또 다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하나는 평창올림픽 포상 규모에 강원도가 상대적 홀대를 당하게 되었다는 것이고,또 하나는 올림픽 경기장 사후 활용에 대한 정부 지속 지원이 불발됐다는 사실입니다.올림픽 이후 지난 1년 이상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려 한 중대사였지만 결과적으로 강원도는 큰 실망을 안게 됐습니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뿌리 깊은 중앙적 시각이 세기를 넘어 여전히 강원도를 옥조이고 있다는 점입니다.중앙과 지방이란 이원론적 관점이 사라지기는커녕 고착화된다는 두려움을 안겨줍니다.이는 즉 중심과 주변,독점과 예속,더 중요와 덜 중요로 나뉘어온 대한민국의 고질병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올림픽이 끝난 지 1년이 지난 지금에서 포상 규모를 확정한 지지부진이 그렇거니와 더욱 기막힌 것은 당초안보다 축소된 평창올림픽 정부 포상 규모에 강원도의 몫이 상대적으로 보잘 것 없다는 점입니다.조직위가 절반에 가까운 46%인 것에 비해 강원도는 전체 포상의 30%에 불과할 따름입니다.‘재주는 누가 부리고’는 아닐지라도 올림픽 개최 주체인 강원도로선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평창올림픽 3개 경기장 운영비 국비 지속 지원이 불발돼 강원도의 재정 부담이 가볍지 않게 됐습니다.경기장 레저 시설 활용 방안 등을 놓고 다시금 고민해야 합니다.강원도는 1일 기준 훈련비 지원을 요구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련 기구 기관과 협의 중이지만,그동안의 과정을 살필 때 과연 일정 한계를 넘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올림픽 개최지를 크게 대접하지는 못할지라도 지역의 기는 죽이지 말아야 옳은데,결과에 분노를 일게 할 포상이라면 문제입니다.올림픽을 놓고 사전에 얼마나 말이 많았습니까.사전이 그러했다면 사후에 당국의 자세가 마땅히 바뀔 만했습니다.강원도의 열정과 노고에 대한 통 큰 배려가 기대되었다는 말입니다.

정부 당국이 뭔가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느낌을 갖습니다.이대로라면 포상에 있어 안면몰수식 독식이란 의심을 피하기 어렵고,경기장 사후활용 방안에도 지나친 인색함을 드러낸다 하여 지나치지 않습니다.정부 당국 내부의 건강성이 회복돼야 이 끈질긴 불합리 불평등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