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청사 신축 심포지엄] 발제
“접근성 불편 해소·지역 균형발전 도모”

강원도청사 신축 현안 해법을 모색하는 첫 심포지엄이 27일 열려 다양한 해법이 모색됐다.도청사 신축과 관련,전문가 그룹은 “강원도와 18개 시·군을 아우르는 랜드마크로서의 청사 건립 방향과 지역발전 및 정체성,행정효율성 등을 극대화하는 강원도청사 신축 로드맵을 수립해야한다”고 자문하며 중·장기적 도시발전 계획 연계를 주문했다.발제를 간추려 싣는다.

발제 1 - 강원도청사 신축이전에 따른 전망과 대책

▲ 신두섭 지방행정연구원 연구기획실장
▲ 신두섭 지방행정연구원 연구기획실장

신두섭 지방행정연구원 연구기획실장

1957년 중공된 강원도청사는 정밀안전진단 결과,지진 발생시 붕괴 위험성이 큰 C등급으로 판정돼 안전성을 크게 위협받고 있다.

사무공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행정안전부 청사면적 기준 대비 1만 4195㎡가 부족(기준 3만 9089㎡·현재 2만 4894㎡)하고,주차공간 부족에 따른 민원인 불편이 잇따르고 있다.

도청사를 신축하게 된다면 그 기본 방향은 18개 시·군을 아우르는 랜드마크,평창올림픽 이후 강원도의 여건 변화에 걸맞는 청사 건립이 필요하다.도청사 건립에 약 2200억원 규모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청사 신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투자 심사 절차를 체계적으로 준비해야한다.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에서는 투자사업의 필요성 및 타당성,소요자금 조달계획,경제·사회정책과의 연계성,일자리 창출 효과 등이 심사 기준이다.

또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작업도 중요한데 이는 청사 신축에 따른 지방재정 영향 검토,지역발전 측면에서의 부합성,이해관계자와의 수용성 등이 고려된다.청사건립 추진단을 구성해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추진단은 정보공개 및 보안을 철저하게 해야하고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 투명성을 전면 확보해야한다.

이와 함께 청사건립 시기 및 참여주체별 이력관리체계를 구축하는 작업도 준비해야하며 1시간 이내 접근 가능한 광역교통체계 구축,도청사 개발 컨셉 및 전략 수립,도청 이전 신축에 따른 개발방향 등을 수립해야한다.

발제 2 - 충남도청 이전과 신도시 발전전략

▲ 장동호 충청남도 내포신도시발전과장
▲ 장동호 충청남도 내포신도시발전과장

장동호 충청남도 내포신도시발전과장

대전시가 1989년 1월 직할시로 승격된 후 타 자치단체 관할구역에 충남도청이 소재해 접근성 불편,행정비능률화,지역불균형발전,개발잠재력 저하문제 등이 대두됐다.이에 충남도는 지난 2013년 대전에서 홍성·예산군이 접한 내포신도시로 도청을 이전했다.도청사 이전 목적은 대전에 위치한 도청을 충남도민의 품에 돌려준다는 도민 자긍심과 정체성 확보,행정중심복합도시와 내포문화권,신도청 소재도시를 연계한 충남 균형발전 도모였다.

충남도는 기관이전형,신시가지형,신도시형 등 3안에 대해 장·단점을 분석하고 지난 2005년 도청사 이전 관련 조례를 집행부 발의가 아닌 도청이전추진위원회 발의로 주도,이를 둘러싸고 불거질 수 있는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며 도청사 이전을 추진했다.도청 이전 예정지역 선정은 도청이전추진위를 중심으로 자문위원회와 평가단,추진단,충남발전 연구원과 체계적으로 정보를 공유했다.

또 도청이전 예정지역 선정 평가기준은 역사문화성 등 지역정체성과 행정효율성,성장잠재력,지역균형성,실현가능성 등을 적극 고려해 현 위치로 이전했다.청사이전 대상지 선정 시,지역주민 공감대 형성과 도의회 및 기초지자체와의 적극적 협력관계 유지,기존 청사 이전에 따른 공동화 방지대책 및 부동산 투기 방지대책,중장기적 도시발전 방안 등을 살펴야한다.도청사 신축시에는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 설계를 비롯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등도 고려해야한다. 정리/박지은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