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15일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대통령 경축사의 키워드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다.이것은 우리민족이 못다 이룬 목표인 동시에,반드시 관철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일제강점에서 벗어난 지 반세기가 훨씬 지났지만 진정한 광복을 말하기 어려운 복잡한 내외 정세에 대한 국정 최고책임자로서의 고민이 묻어난다.

일제강점과 6·25 전쟁의 비극을 딛고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 된 것은 자긍할 만하다.그러나 안팎의 사정은 녹녹지 않다.일본은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을 빌미로 수출규제를 단행,시비를 걸고 있다.이런 적반하장이 치욕의 역사를 환기시켜주고 있다.소득 3만불을 달성하고 문화국가의 기틀을 갖춰가고 있지만 ‘흔들 수 없는 나라’는 이루지 못했다는 말도 이런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춘추전국시대 진(秦)나라의 경공(景公)이 진(晉)나라를 칠 속셈으로 초(楚)나라에 사람을 보내 병력 지원을 요청했다.초나라 군주가 이에 응하자 재상 자낭(子囊)이 불가하다고 진언한다.이해에 따라 이합집산이 예사였던 때였으나 자낭이 극구 반대하고 나선 것은 한 마디로 두 나라가 쳐도 진(晉)나라는 ‘흔들 수 없는 나라’라는 것이다.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열거한다.

“군주는 인재를 능력에 맞게 부리고(晉君類能而使之),사람을 등용함에 실수가 없으며(擧不失選),관리들은 직책을 잘 지키고(官不易方),경들은 인재에게 권익을 양보하고(其卿讓於善),대부들은 직분에 준수하고(大夫不失守),병사들은 명령에 따르려 다투며(其士競於敎),서민들은 농사에 힘쓰고(其庶人力於農檣),상인과 말단관리,백성은 가업을 바꾸지 않는다(商工早隸不知遷業)”라고.

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의 세 가지 전략으로 책임 있는 경제 강국,평화와 번영을 선도하는 교량국가,평화경제를 꼽았다.비핵화와 통일이라는 전제와 목표가 있다고 본다.이것이 흔들리지 않는 나라의 비전이라면,문제는 내실이다.결국 국민 한사람 한사람이 각자가 맡은 역할을 다하는 데 있을 것이다.저 옛날 진(晉)나라가 그랬던 것처럼.

김상수 논설실장 ssookim@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