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파주 2차 발생농장 최근 혈청검사서도 ‘이상 없어’
“구제역 때와 똑같은 ASF 방역 대책 ‘원점 재검토’ 필요”

20190924023701_GYH2019092400030004400_P2.jpg
24일 경기도 파주 양돈 농가가 확진 판정을 받는 등 강도 높은 차단 방역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파주, 연천, 김포 등 경기 서북부 지역에 빠르게 퍼지고 있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축산 방역 당국은 살처분과 함께 이동제한, 이동중지 명령, 차량과 인원 통제, 소독 등 인원과 장비를 최대한 동원, 발생 초기부터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단계’로 유지한 채 차단 방역에 온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최초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왜 발생했는지, 병을 옮기는 매개체는 무엇인지조차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방역이 이뤄지면서 질병 확산을 막지 못하고 있다.

방역 대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관련해 현재 드러난 사실은 한강과 임진강 등 하천과 접한 경기 서북부 접경지역에서만 발병했다는 것뿐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발생 원인으로는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남은 음식물을 먹이는 경우, 농장 관계자가 발병국을 다녀온 경우, 야생 멧돼지가 바이러스를 옮기는 경우 등이 지목돼왔다.

하지만 4곳 발생 농장은 모두 이들 발생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파주 2차 발병 농장만 파주 1차 농장의 분뇨 수거 차량이 지난 6일 드나들어 역학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물렁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도 알려졌으나 물렁진드기는 더운 지방에 서식하며 국내에서는 발견된 바 없어 전파 경로로 의심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특히 23일 김포 발생 농장과 이날 확진된 파주 2차 발생 농장은 지난 19∼22일 혈청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던 농장들이다.

파주 2차 발생농장은 돼지 2천300여 마리 중 어미돼지와 육성돼지 17마리 혈액을 채취해 혈청 검사를 했으나 항원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23일 어미돼지 4마리가 유산하고 이 중 1마리가 폐사해 의심 신고가 이뤄졌으며 정밀검사에서 이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은 구제역 발생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정밀검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오면 해당 농가의 돼지를 살처분하고 반경 3㎞ 이내 농가의 돼지 또한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한다.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이동제한 조치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리고,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소를 설치해 운영한다.

사람과 차량의 접촉을 막는 차단 방역은 분명 방역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방역 대책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나온다.

사람과 차량을 통제한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2010∼2011년 구제역 발생 때 차단 방역에 실패해 전국으로 확산하며 6천241개 농가에서 사육하던 소와 돼지 347만9천 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2조7천383억원의 피해가 나 결국 정부가 백신 정책으로 전환했다.

구제역과 같은 방식의 방역 대책으로 백신조차 개발되지 않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을 막을 수 있을지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효과적인 차단 방역을 위해서는 최초 감염 경로와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매개체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며 “농림축산 검역본부에서 정밀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으나 아직 감염경로가 나오지 않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17일 파주시 연다산동 양돈 농가에서 최초 발병한 뒤 18일 연천군 백학면 양돈 농가에서 추가로 확진됐다.

이어 23일 김포시 통진읍 양돈 농가, 24일 파주시 적성면 양돈 농가에서 발병하는 등 4개 농장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살처분 대상 돼지도 2만800여 마리로 늘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