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부길 한라대 교수
▲ 석부길 한라대 교수
현대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무한 경쟁이 요구되는 세계화를 맞이한 지 이미 오래이며 이에 따라 진보된 기술 및 지식과 함께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다.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변화를 일으키고 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 연장으로 고령사회 진입 및 100세 시대가 도래한 시점이다.

이렇듯 현대 사회는 변화 발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생활의 편리를 가져왔다.하지만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의 특성으로 인해 자신감을 잃고 소외감이나 절망감에 휩싸이는 등 사회 역기능적인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특히 교육 제도 밖에 있는 성인은 중·고등교육 내의 청소년 및 청년들에 비해 보다 이러한 문제점에 취약해 교육을 통한 학습기회를 제공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변화에 적응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된다.

교육부 ‘2018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자료에 근거하면 2008년 26.4%였던 평생학습 참여율이 2018년 42.8%로 급격히 증가했다.이러한 수요의 급증에 따라 정부는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과 평생학습 중심대학 지원사업을 통합·개편하여 2017년도부터 평생교육지원체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지난해 21개 일반대학에 161억 원을 지원한 데 이어 올해 20개 일반대학과 6개의 전문대학에 234억 원으로 상향 지원하고 있다.이는 대학이 학령기 학생 중심의 운영에서 벗어나 사회 수요의 변화에 맞추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위과정을 운영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성인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한편 대학의 재정난 타파 및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해당 사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일부 개선이 요구되며 이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기존의 단년도 사업에서 2년간의 사업 진행성과에 따라 2년이 추가되어 최대 4년이 지원되는 다년도 사업으로 체제가 전환되었지만 체제가 정착되기까지 여전히 그 기간은 짧다.운영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다 지원 기간을 늘려 장기적 다년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그리고 예산교부 방식이 대학 회계연도와 달라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어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학습자 선정 대상에도 변화가 필요하다.재직자 전형의 경우 특성화고를 졸업한 재직자로 그 대상이 한정되어 있어 가뜩이나 모집에 허덕이는 지방대학의 재직자 전형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이와 함께 지자체와 평생교육체제사업 운영 대학,지역 기업 및 지역 주민들과의 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전공 및 교육 커리큘럼이 제공되고 평생교육 체제로의 개편에 대한 인식 제고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제 더 이상 평생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상기의 제언을 바탕으로 강원도가 평생교육 체제의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여 지역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