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 관련산업 붕괴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 필요

지난 17일 경기 파주 양돈 농장에서 처음 확진 판정을 받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연천과 김포에 이어 강화까지 잇따라 발생하면서 열흘사이에 6곳으로 늘어났습니다.전염되면 100% 가까운 치사율을 보이는 데다 치료제마저 없어 과하다 싶을 정도로 강력하게 대처해야 하는데 발병이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초등 방역과정의 허점이 생긴 것 아닌가하는 의심을 들게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첫 발병직후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으로 발령하고 강원도를 포함한 전국 돼지농장과 도축장에 대해 48시간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지만 병의 잠복기가 최대 3주까지 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동중지 기간이 너무 짧은 것 아니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처럼 ASF가 확산하고 있지만 아직 발병원인과 감염경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더 문제입니다. 전문가들은 지난 8일 북한을 통과한 태풍 ‘링링’의 여파로 ASF에 감염된 돼지 분뇨가 하천을 통해 남한으로 내려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이같은 추정이 사실이라면 북한의 하천물이 내려오는 철원과 화천,양구,인제,고성 등 도내 접경지역 농가들의 감염 우려가 매우 큽니다.

ASF 감염고리로 지목된 확진농가 방문 차량의 경유지가 도내 12개 지역 87개 농가에 달하는 등 접경지역 뿐만 아니라 영서와 영동지역까지 확산된 것으로 확인됐지만 강원도는 인력과 시간부족을 이유로 ASF 발병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채혈검사를 도내 전체 양돈농가의 32%에 불과한 85곳에서만 실시해 너무 안이하게 대응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ASF를 초기에 막지 못하면 ‘토착병‘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대처에 실패해 ASF가 전국으로 확산된다면 이미 돼지와 분뇨 반출을 못한 상태에서 사료공급 부족까지 ’3중고‘를 겪고 있는 양돈농가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을 입히는 재앙이 됩니다.

대응체제를 정부 최고 대응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높이고 이낙연 국무총리가 언급한 것처럼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단호하면서도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강원도도 예산과 인력을 핑계로 소극적으로 대응하지말고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선제적 방역에 나서야 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