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화 20년, 동강 생태계 환경 몸살… 환경부 대책 마련해야”
수몰 예정지 지원 일회성 그쳐
삶의 터전 회복·비전 제시 전무
생태·보전지역 지정 후 방치만

김상경(57·사진)씨는 말 그대로 동강변 촌사람이다.영월읍 문산2리에서 태어나 20대 초반부터 서울에서 객지 생활을 하던중 동강댐 건설 계획이 발표되고 찬반 논란이 거세지기 시작할 무렵인 1995년 다시 고향으로 돌아 왔다.곧바로 남의 땅을 빌려 고추와 옥수수·감자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로 힘겨운 생활을 이어갔다.

한편으로는 댐 건설에 따른 개발 이익 발생으로 혹시나 낙후된 오지마을 탈출 기대감으로 정부를 상대로 찬성 입장에 서 있던 인근 평창 미탄면 기화리와 정선 신동읍 운치리 등 동강변 사람들과 함께 활동을 하기도 했다.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문산1·2리 마을 주민 사이에서도 찬반 갈등이 팽팽하면서 발생하는 이웃간의 불협 화음도 두 눈으로 생생하게 지켜보는 아픔도 겪었다.결국 댐 건설 계획은 5년이 지난 2000년 6월 5일 전면 백지화 되고 남은 것은 지난 10여년 진행된 찬반 양론 속에 늘어난 농가부채 뿐이었다.

그를 더욱 화나게 만든 일은 백지화 이후 정부가 추진한 수몰 예정 지역주민 지원 대책이 일회성에 그친 데다 원주민들의 삶의 터전 회복과 동강의 미래 가치 및 비전 제시가 없었다는 데에 있었다.김상경씨는 “동강댐 건설을 반대했던 사람들이 백지화 이후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며 “이는 동강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사람들을 철저하게 외면한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백지화 이후 20년이 지난 현재 동강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은 평창 도암댐 등으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으며 특히 환경부가 72.85㎢에 달하는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에 대해 지정만 하고 유휴지 방치 등 부실한 관리 행태는 즉각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방기준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