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호 편집부국장
▲ 이 호 편집부국장

강원 산업 전반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하다.관광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가 고착화돼 외부 충격에 취약한 강원 산업의 특성상 더욱 그렇다.강원 건설업은 2019년 기준 실질 총부가가치가 3조5226억원으로 도내 총부가가치 42조5741억원의 9.2%를 차지한다.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역경제 위기가 심화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건설산업 경기부양 효과는 매력적이다.

코로나19에도 올해 건설업의 약진은 수치에서 잘 드러난다.강원 고용률이 63.5%로 코로나19 발생이후 최고치를 경신한 5월 산업별 도내 취업자 수를 보면 건설업은 2만명 증가했다.반면 자영업 종사자는 1만9000명,농림어업 종사자는 2만8000명 감소했다.통계청의 ‘사업체노동력조사’를 보면 1분기 도내 건설업계 취업자 수는 7만1600명이다.전년 동기(5만9500명)대비 1만2100명이 늘었다.20.3%의 증가율이다.이는 도내 전체 산업 중 가장 큰 증가 폭이다.4월 도내 건설수주액은 52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늘었다.발주자별로는 민간 부문의 증가 폭이 컸다.민간부문 수주액은 1년 전과 비교해 20.1% 늘어난 5020억원이었다.

문제는 호조세를 이어가는 건설 경기를 기폭제로 지역경제 부양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제대로 되고 있느냐다.현장에서는 하도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경기 부양 효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특히 민간 부문에서는 더 그렇다.

대기업 건설사들은 신용도와 시공 능력 등을 평가해 협력업체를 지정하고 이들 업체만을 대상으로 입찰 등의 방식으로 하도급을 준다.하지만 현실에서는‘입맛대로’ 방식이다.지역 협력업체들이 도내 대형 사업장에서 외면을 당하기 일쑤다.대형 건설사들이 자신들과 일을 했던 타 지역 협력업체들을 고집하는 경향이 여전하다.아파트 건설 붐을 타고 대형 사업장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지만 분양 수익 등이 역외로 유출되고 일감까지 빼앗기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역행한다는 불만이 잇따르는 이유다.

강원도는 지난 9일 도청에서 ‘지역건설산업활성화 위원회’를 개최했다.도는 ‘2021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계획’을 통해 지역의무 공동도급 제도와 지역제한 입찰 제도를 적극 시행하고 대규모 공사 및 기계설비공사 분할 발주,지역 생산제품 및 장비·인력 우선 사용 등에 앞장서겠다고 했다.올해도 회의 내용은 대형 SOC사업 등 공공부문 건설사업 대책이 주를 이뤘다.아파트 등 민간부문 대형사업장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은 여전히 업계가 알아서 할 영역이라는 인식이 짙었다.

타 시·도는 어떨까.부산시의 성과가 눈길을 끈다.부산시는 대형 건설사들의 지역 하도급률을 높이기 위해 전담팀인 ‘하도급관리팀’을 5년째 운영하고 있다.팀장과 주무관 등 4명으로 구성된 하도급관리팀은 지역 건설업체들이 대기업 협력업체에 등록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는 스케일업(기업 역량 강화) 사업을 전국 최초로 하고 있다.대기업 협력업체로 129곳 신규 등록돼 사업 수주로 이어지고 있다.또 업계와 하도급홍보세일즈단을 구성,매년 정기적으로 대기업 본사를 찾고 있다.부산지역 업체의 하도급 참여 비율은 2019년 51.14%에서 2020년 54.27%로 높아졌다.

강원도 실정은.주무관 1명이 하도급관리 종합대책 수립 추진,하도급 관리실태 점검계획 수립업무를 담당한다.24일은 건설 산업 발전을 위해 제정된 건설의 날이다.이날 “갑중의 갑인 대기업 건설사와 지역 업체가 알아서 하도급을 해결하라는 것 자체가 갑의 편”이라는 한 지역 전문건설사 대표의 불만이 공허한 메아리가 되면 건설산업 부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장밋빛 착시’일 뿐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