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영 강릉시의원
▲ 김기영 강릉시의원

11월 11일은 흔히 ‘빼빼로 데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날은 법정 기념일인 ‘농업인의 날’로서 농민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하고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날이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사를 중시하는 전통이 발달했다. 고구려 때부터 왕이 농사를 권장하는 권농의식이 행해졌으며, 일제강점기에는 6월 14일을 ‘권농일’로 제정하기도 했다. 해방 후에는 일제 잔재 청산 차원에서 6월 15일로 바꾸고 ‘농민의 날’로 부르게 됐다. 이후 명칭과 날짜가 바뀌다가 1996년에 11월 11일을 법정기념일인 ‘농어업인의 날’로 지정했고, 1997년 ‘농업인의 날’로 변경돼 지금까지 오고 있다.

원래 농업인의 날은 농촌계몽운동가인 원홍기 전 원주축협 대표 등의 주도로 농사개량구락부 원성군연합회가 1964년 11월 11일에 농민의 날 행사를 개최한 것이 유래라고 한다.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관(官)이 아닌 민간차원에서 먼저 되새겼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농촌의 위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은 점차 산업의 변두리로 밀려 나가게 되었고, 1970년대까지 1400만 명에 달했던 농업인구가 빠르게 감소, 몇년 전부터는 300만명을 밑돌기 시작했다. 농촌은 국토의 89.2%를 차지하지만 농촌인구는 18.7%에 불과한데다 초고령화되고 있어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인구소멸에 대한 위기의식 또한 날로 고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도 ‘농촌지역 뉴딜 전략 추진’으로 농촌의 위기에 적극 대비하고 있다. 강릉시도 미래 농업인력 양성,농업인 수당, ICT 농업기반조성, 고품질 식량작물 안정생산 기반 확충 지역 실정에 맞는 특화전략 발굴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농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인지 몰라도 최근 귀농인구가 차츰 늘어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통계에 따르면 강원도내 귀농 귀촌가구는 2010년 31가구에서 2020년 2167가구로 늘어났으며, 강릉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307명이 귀농했다는 보고이다. 이처럼 귀농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다양한 귀농정책사업 외에도 광역 교통망 확충, 정주여건 개선 등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농업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우선 도시재생에 버금가는 행·재정적 지원으로 농촌의 정주여건 및 복지·의료 서비스 개선, 문화 예술의 격차 해소 등 적극적인 농촌재생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고령화 시대 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해 청년 농업인 육성, 외국인 농업 근로자 수급 안정, 농작업 대행 서비스 등 농업 인력 유입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최근 들어서는 기후 위기 심화로 농업재해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공적보험으로서 재해보험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상 피해 및 품목, 보상수준 인상 등으로 농가의 경영 안정과 기후변화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했다. 농사는 천하의 큰 근본이며, 나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힘이다. 농업 현실이 날로 어려워지는 지금, 우리가 그동안 잊고 지냈던 농업의 소중함을 깨닫고, 농민들의 땀과 노고를 이해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한 시점이다. 농업인의 날을 맞아 어려움 속에서도 풍요로운 결실을 일궈내 주신 농업인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우리 모두 농업, 농촌의 소중한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