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귀섭 원주본사 기자
▲ 한귀섭 원주본사 기자
원주시 인구가 강원도에서 처음으로 36만을 넘어섰다.

12월 말 기준 원주의 인구는 36만1065명이다. 이는 지난 2007년 30만 명을 넘어선 지 14년 만이다. 학교와 상권 등이 밀집한 단구동 4만4736명으로 가장 많았다. 원주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이 위치한 반곡관설동이 4만4719명, 시청과 법원, 검찰이 있는 무실동이 3만4415명,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와 이전기업들이 있는 지정면이 2만9029명이다. 이어 단계동 2만8820명, 태장2동 2만4745명, 문막읍 1만7887명 순이다. 현재 지방의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원주시의 인구 증가는 그 자체만으로 축하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대도시급으로 불리는 인구 50만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먼저 원주혁신도시가 들어선 반곡관설동의 정주인구를 늘려야 한다. 이전한 지 8년이 지났으나 출·퇴근 시간이 되면 대형버스들이 수도권으로 직원들을 실어 나르기 바쁘다. 이들은 공공기관 이전부터 수도권에 자리를 잡았지만, 부부가 이전공공기관 직원이 아니라면 직장을 옮기기 어려워 주말부부를 택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요즘에는 수도권의 경우 집값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수도권 불패’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반면 원주는 수도권에 비해 상승 폭이 크지 않아 주거와 투자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 부족하다. 또 교육과 문화, 인프라 면에서도 수도권과 격차가 커 원주에 거주하기 쉽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또 원주에는 주요 공공기관을 제외하고는 청년들이 만족할 만한 일자리가 부족하다. 사정은 중소기업도 마찬가지다. 원주 주요 공단에는 청년들을 찾기 힘들다. 이유는 결국 임금과 복지다.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기업 이전으로 인구를 늘릴 수 있을지 몰라도 그에 맞는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다면 다시 떠나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주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주거하는 사람들도 있다. 서울의 집값이 너무 비싸 구매할 수 없으나 원주는 신규 아파트가 많고 비교적 집값이 저렴해 정착을 원한다. 하지만 여전히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주말이면 수도권으로 소비를 하러 나가는 시민들을 붙잡지 못하고 있다. 인구 증가는 원주시의 정책에 달렸다. 지금도 인구 증가를 위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와닿지 않는 것들도 있다. 지방 소멸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원주시의 앞으로 행보가 중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