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태 평창주재 취재국장
신현태 평창주재 취재국장

6·1 지방선거가 지난 21일로 딱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지난 선거와는 달리 이번 지방선거 D-100일에 지역 지방선거 입지자들이 자신의 얼굴을 알리는 홍보활동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신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제20대 대통령선거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대선이 지선을 삼켜버린 형국이다.

대선 승리가 절실한 여야 정당들은 지방선거 입지자들을 대선 선거운동에 총동원하며 지방선거는 뒷전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대선 승리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거대 여 야 정당들이 지방선거 입지자들에게 대선승리에 우선하라는 특명(?)을 내리고 지방선거 공천도 대선 기여도를 반영하겠다는 입장에서 지방선거 입지자들의 운신 폭이 좁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로 여겨진다. 지방선거 입지자들이 대선 후보의 선거운동원이 되어버린 선거의 중앙집권인 셈이다.

그러나 지방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대선 못지않게 우리지역의 일꾼을 뽑는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도 높다. 출마하는 후보자들의 면면과 정책, 능력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지역의 일꾼으로 선택할 인물을 결정해야 하는데 선거 100일을 앞둔 시점에서도 입지자들은 자신을 홍보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유권자 또한 충분한 정보를 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8일 시작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도내 시장, 도의원, 시의원 예비후보 등록 인원이 21일까지 10명에 불과, 앞선 지방선거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 대선이 삼켜버린 지방선거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준다.

또 오는 6·1 지방선거는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해당지역 입지자들은 물론 지역 유권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전국의 14개 지자체가 해당되고 도내에서는 영월·평창·정선군 등이 대상으로, 이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도 높지만 아직 논의의 진척은 없는 상태다.

해당 지역 자치단체와 주민들은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방자치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도농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대표성이 보장받을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현재의 인구수 중심이 아닌 농촌의 열악한 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행정구역, 면적, 지형, 교통, 생활권역, 역사, 문화 등 비인구적 지표개발과 광역의원 최소 2명을 유지할 수 있는 농어촌지역의 특례조항 신설도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인구중심 선거구 획정은 인구가 줄어드는 농어촌지역의 경우 갈수록 선거구 감소가 가속화될 것이 명약관화해 지방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일이 어려워지고 지방자치 역시 퇴보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에 따라 선거지형이 크게 바뀔 처지여서 선거구 획정에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회 정개특위의 선거구 획정은 아직 초기 논의만 진행된 채 머물러 있고 대선 이후 재개될 전망이지만 농촌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결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지난 1991년 지방자치가 부활한지 30년이 넘어 선 지금, 지방자치를 이끌어 갈 일꾼을 뽑는 선거를 100일 앞둔 시점에도 대선에 가려진 지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역대 정부마다 지방자치와 지역 균형발전을 외쳐오고 있지만 선거의 중앙집권이 현실이 된 오늘 지방자치의 발전은 먼 훗날의 일로만 여겨진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