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인플레이션율’ 상승세 불안커 국가관리 적극적이어야

코로나 방역 조치 완화에 힘입어 경제 회복세로 돌아서는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등 곳곳의 악재로 성장이 불투명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하순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글로벌 경기의 둔화 등 대외 여건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올 연말까지 원자재 수급 등 대외 상황은 개선될 여지가 적으며 오히려 지속돼 악화를 심화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올해 경제성장률은 2.7%인 데 비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5% 수치를 내놨습니다. 더 큰 문제는 체감도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오름세가 확대되는 현상입니다. 원자재가격 상승 및 공급 차질 심화,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인해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확대되면서 앞으로 전망치를 넘어서는 인상이 예고됐다는 점도 심각합니다. 곧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의 주요인이 되는 각종 원자재 가격이 군사적 긴장과 제재로 인한 수급 불안으로 공급 차질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물가는 경제성장률, 금리, 환율 등의 지표와 함께 실물경제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일으킵니다. 국민이 생활의 질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예민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관리하는 지표입니다. 이번엔 식료품과 에너지는 물론이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품목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근원물가(근원인플레이션율)’ 역시 상승 지표가 만만치 않다는 점입니다. 3%대로 전망하는 근원물가를 대폭 낮추는 물가안정을 가져와야 합니다.

생산자물가 및 소비자물가는 국민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코로나 이후 축적된 가계 구매력이 소비 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하나 자영업과 소상공인 소득이 줄었습니다. 더구나 물가 급등과 금리 상승이 연속되며 취약층일수록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지금까지 온라인 대통령실에서 내놓은 브리핑룸 게시 발표 중 가뭄 농업대책과 경남 밀양에서의 산불에 대한 것은 있어도 급격히 인상된 물가에 대한 대책은 나오지 않아 아쉽습니다.

물가 인상은 이미 염려를 넘어 경제 불안 요소로 작동되는 현실에 처해있습니다. 소비자물가의 급격한 인상 문제를 직시하고 모처럼 회복세를 보이는 민간소비 둔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비상한 인식으로 국가적인 관리가 요구됩니다. 인플레이션 파고에 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적극적인 관리가 요청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