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에너지·원자재 비용 폭등 악재 시름 덜어야

도내 자영업자들이 고물가와 공공요금 인상으로 시련의 시간을 맞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호황을 기대했던 업소들은 물가 폭등 등 악재가 겹쳐 시름에 잠겨 있습니다. 금리 인상으로 부채 상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료와 유류, 식재료 가격 급등에 따라 요식업계를 비롯해 운송·편의점·숙박·제조업 등 소규모 상공 업계 전반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전기료와 가스요금 인상은 당장의 부담입니다. 한국전력공사는 3분기 전기요금에 적용할 연동제 단가를 ㎾h당 5원으로 확정했습니다. 내달 1일부터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이 메가줄(MJ·가스사용 열량단위) 당 1.11원 오릅니다. 인상률은 목욕탕·쓰레기소각장 등에 적용되는 일반용(영업용2)이 7.7%로 가장 높고 음식점·구내식당·숙박시설·수영장 등이 적용되는 일반용(영업용1)이 7.2%, 주택용 7.0% 순입니다.

식자재 가격 상승은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습니다. 국제 밀 가격이 21년 말보다 43%나 오르면서 밀가루, 국수를 비롯해 밀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올랐습니다. 특히 전쟁에 따른 봉쇄로 곡물 최대 생산지인 우크라이나와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 인도네시아의 수출 중단은 ‘식용유 대란’을 불러왔습니다. 업계에선 연초 2만~3만원에 구매할 수 있었던 업소용 식용유 18ℓ가 7만원대로 두 배 이상 폭등했다고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업체 입장에선 원료비 등 비용이 늘었다고 판매 가격을 올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음식값의 경우 현재로선 마진을 남기기도 어려운 형편이지만, 1000원만 인상해도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길 수 있어 주저하고 있는 식당들이 많습니다. 국제유가 급등이 지속되면서 택배, 화물차, 택시 등 운송업 종사 자영업자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으나 소비자 가격에 연동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코로나19에 따른 소비 둔화로 타격받았던 자영업자들이 이번엔 공급 문제로 사면초가에 처해있습니다. 원자잿값 등 물가 상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식량 안보주의 강화 등 외부 요인이 커 출구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업계 어려움을 외면할 수만은 없습니다. 영업하는 주체들이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도 뒤따라야 합니다. 자영업은 생계 수단인 동시에 지역 경제를 떠받치는 버팀목이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