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기준 영월주재 부국장
▲ 방기준 영월주재 부국장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落落長松)되어서,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

조선 세조 때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성삼문(1418∼1456)이 지은 시조 ‘봉래산가(蓬萊山歌)’이다.

성삼문이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반대해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돼 죽음에 임박해서도 꺾이지 않는 자신의 꿋꿋한 절개를 노래한 시조이다. 제목은 작품 가운데 등장하는 봉래산을 따서 후세 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라고 알려졌다.

해발 799.8m의 봉래산은 영월읍 북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산이다. 산 밑으로는 명승 제14호 어라연을 거쳐 온 동강의 물줄기가 흐르고 강변에는 금강정과 낙화암(落花巖) 비석이 남아 있다. 낙화암은 단종 승하 후 그를 모시던 궁녀와 관비·궁비·무녀 6명과 시종 1명이 통곡을 하며 치마를 뒤집어쓰고 동강으로 떨어져 순절한 곳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영월의 신사(神社)를 관리하던 일본인 후쿠다가 봉래산에다 쇠못을 박아 혈을 끊기도 했다. 봉래산 정상에 서면 백두대간 주능선과 태백정맥·소백정맥이 바라 보이고 발 아래에는 국민의 강 동강이 굽어 보인다.

세월이 한참 지난 1997년. 한 미친(?) 젊은이가 봉래산을 수시로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주인공은 당시 35세의 이형수 영월군 정책개발팀장. 그는 1996년 폐광지역 영월군과 지역성이 비슷한 일본 후쿠시마현의 아부쿠마 동굴지대로 난생 처음 해외여행이자 배낭여행을 떠났다가 동굴 앞에 우주선 모양의 천문대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사계절 주·야 체류형 관광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자상품 기능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1997년부터 한국천문연구원과 함께 입지조사를 거쳐 시민천문대 적지 판정 결과를 얻은 뒤 공사에 들어가 2001년 10월 공식 개관에 이르기까지 5년여 동안 730여회나 봉래산을 오르내렸다.

한편으로는 당시 군수와 군의회는 물론 노인회 등으로부터 “봉래산 정상에 건물을 지으면 맥(脈)이 눌려 영월이 망한다”는 심한 반대에 부딪혀 이를 설득하고 45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하느라 갖은 고생을 다해야 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국내 최초의 시민천문대인 ‘영월별마로천문대’가 탄생했고, 영월군의 별마케팅인 ‘밤하늘의 별 장사’가 시작돼 현재 영월의 대표적인 관광지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최명서 영월군수는 지난해 11월 별마로천문대가 있는 봉래산에 오는 2024년까지 산악 및 야간 관광명소로 개발하는 ‘행복고도 799(B-Park)프로젝트’를 전격 발표했다. 최신의 전망대와 금강정∼정상에 이르는 2㎞의 모노레일, 10동의 트리탑하우스와 1.5㎞의 트리탑로드, 0.9㎞의 마운틴코스트 등 각종 레저시설을 연차적으로 설치해 영월관광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영월을 강원남부의 관광거점도시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그러나 군의회는 12월 3회 추경예산안 심사에서 1단계 전망대 설치 사업비 30억원에 대해 “차별화된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전액 삭감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지난 1일 민선8기 최명서 영월군정이 출범하고 제9대 영월군의회가 개원했다.

비운의 임금 단종의 역사와 별마로천문대가 있는 봉래산이 영월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되도록 서로 지혜를 모으는 협치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