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대 재학생 이탈 가속, 정부 파격 해법 내놓아야

학령인구 감소로 벼랑 끝에 몰린 강원도내 대학들이, 재학생 이탈로 이중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지난해 도내 4년제 대학 재학생 중 5000여 명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욱이 신입생을 중심으로 탈락 비중이 확대되면서 도내 대학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대학생 이탈은 지역의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어 대응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학생 중도 탈락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도내 9개 대학의 2021학년도 재학생 9만4317명 가운데 5.36%에 달하는 5059명이 대학을 떠났습니다. 이는 전년도 탈락률 5%(4892명)와 비교해 0.36%p 증가한 수치로, 인원으로는 167명이 늘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신입생에게서 더 두드러졌습니다. 지난해 도내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 1만5328명 가운데 대학을 그만둔 인원은 6.84%인 1048명에 달했습니다. 지난 2020학년도에도 신입생 1만7255명의 6.12%인 1056명이 도내 대학에서의 학업을 포기했습니다.

중도 포기의 형태는 자퇴가 가장 많습니다. 지난해 대학을 떠난 5059명 가운데 자퇴를 사유로 든 인원은 3169명으로 과반(62.6%)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학을 떠난 1048명의 신입생 중 92%에 달하는 965명이 자퇴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학생 이탈의 중요 원인은 비수도권 대학에 대한 기업의 차별적 인식 때문입니다. 졸업생들은 서류 평가에서부터 낙방하기 일쑤이며, 면접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관행과 선입견이 사라지지 않는 한, 대학 공동화는 해결 불가능한 고질적 현안이 될 것입니다. “비수도권 대학도 경쟁력을 갖춰 변화하는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논리가 무색해지는 상황입니다. 대학 관계자들은 “도내 대학에 입학한 뒤 다시 수도권 대학 진학을 노리는 학생들이 많은 추세”라며 “수도권이라는 위치적 강점을 지방대 혼자 극복할 수는 없다”고 고충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대학생들에 대한 기업의 인식 변화를 통해 공동화의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시장에만 맡긴다면 이런 악순환이 반복될 것입니다. 교육부의 개별 대학 예산 지원만으로는 해답이 보이지 않습니다. 졸업생 취업과 관련, 국가고시 비수도권 학생 할당제와, 기업 채용 시 인센티브 부여 등을 포함한 파격적인 정책과 아이디어가 필요한 때입니다. 대학의 공동화는 결국 국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것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