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2년 전 진입, 청년 이탈·지역 공동화 악순환 우려

올해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전체 인구 중 17.5%를 노인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3년 뒤인 2025년에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의 도달 연수는 7년으로,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강원지역은 이미 지난 2020년에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오는 2030년 10명 중 3명은 고령인구에 속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의 ‘2022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강원지역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3만7000명으로 지난 2020년(30만4000명)보다 3만3000명(10.85%) 늘어났습니다. 올해는 고령인구 비율이 22.1%에 달해 2020년 대비 2.1%p 늘었으며 전국 평균(17.5%)보다 4.6%p 차이가 났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 경북, 전북 다음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고령인구 비중이 높았습니다. 가장 적은 세종(9.9%)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벌어졌습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강원지역 고령인구 확대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오는 2025년 25.9%에 이어 2030년 31.6%, 2040년 41.4%, 2050년 47.2%로 늘며 30년 안에 도민 중 절반 가까이가 고령에 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도내 출생아 수는 590명으로 지난해(675명)보다 85명(12.59%) 줄었으며 혼인 건수도 391건에 그쳐 도내 초고령화는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출산율 감소와 함께 초고령 사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수도권 인구 집중에 따른 지역 공동화로 볼 수 있습니다. 젊은 층은 일자리를 따라 수도권 등 타지역으로 떠나고, 이에 따라 출산율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지역으로 산업과 일자리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없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초고령 사회는 노인 빈곤을 포함해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노후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은퇴 후 생활고에 시달리게 됩니다. 청년층이 줄고 노인인구가 늘면, 미래 세대 부담은 점차 가중됩니다. 지역 경제도 활기를 잃고 성장의 동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도와 지자체의 대응이 세워져야 하지만, 정부 차원의 근본 대책이 우선해야 합니다. 비수도권의 초고령화는 결국 국가의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