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계획 없고 찔끔 예산 한계, 특별자치 제주학 본받길

강원도내 17개 국공사립 연구원이 협력한 강원학연구대회가 12월 1, 2일 춘천에서 있었습니다. 인문지리부터 지역사, 산림과 기상 등에 이르기까지 최신 연구문이 발표됐으나, 연구기관간 교류 정착 효과를 내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강원학대회가 5회를 맞았지만, 연중 단 1회여서 실상 이벤트성에 가깝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지역 특유의 가치를 활용해 경제발전의 아이디어 보물창고가 돼야할 ‘강원학’이 여전히 선언적 의미에 머물러있습니다.

당일 대회장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드러내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도산림과학연구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은 물론 대학 자연과학연구원과 방재연구원 등 상설 협력체제라면 각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공유 및 인적 공조가 필요하다며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도민 안전과 건강에 활용할 수 있다는 다양한 협업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비단 자연과학분야만이 아니라 문화유산 및 교육적 활용에 대해서도 비슷한 실정입니다.

지역학은 그 지역 독자적인 특성이 세계 속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지역화를 위한 논리 개발 필요성에 따라 등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성공사례가 ‘제주학’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1년 제주학연구센터를 설립해 제주학아카이브시스템 구축과 활용을 비롯한 다양한 사업에 대단위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제주학 글로벌화에 성공했습니다. 제주도 자연과 제주해녀 등 유무형 자산 가치의 글로벌화로 제2의 제주도 부흥기를 이끄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미 제주학은 부가가치를 상승하는 지식자산화 단계로 발전했습니다.

강원학은 아직 장기 비전과 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은 걸음마 수준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정책아이디어 빈곤을 겪는 문제점 이면에는 지역학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한 요인입니다. ‘강원학’이 단지 선언에 그친다면 그 생명은 오래 가지 않습니다. 실질 연구가 있어야 하며, 강원학에 담기는 논거와 사유가 충분해야 합니다.

아직 해당 분야조차 기관 간 상설 네트워크가 미흡한데 영역을 넘나드는 융복합 상설 연구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강원학대회도 연중 1회가 아닌 분기별 1회 정도는 돼야 하며, 매월 분야별 대회를 통해 연구기관 및 연구자 간 실질 교류를 촉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강원학연구센터가 말 그대로 ‘구심체’가 되려면 현행 소수의 인력과 단기적 찔끔 예산 구조로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행·재정적 뒷받침이 확고해야 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