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대학과 생존게임

경쟁보다 상생 찾아야 생존

대학-지자체-산업체 협력

발전협 등 체제 구축 필요

지역대학의 생존이 걸린 ‘지방대 특성화사업(CK-Ⅰ)’에 선정되기 위한 강원도 등 각 지역대학의 경쟁이 치열하다.

사업 선정에서 탈락한 대학은 생존경쟁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커 각 대학들은 이번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사업기간은 5년이다. 사업 성패는 지역의 산업 기반 성숙도와 지자체의 지원 여부에 따라 판가름 날 전망이다.

특히 강원권 대학이 특성화 사업 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 지자체와 대학의 상생 협력과 탄탄한 지원체제다.

강원권 대학은 대구·경북권(이하 대경권)과 경쟁한다.

현재 대경권 대학은 일찌감치 지자체의 지원을 받으며 특성화 부문에 집중, 강원권 대학보다 한발 앞서 있다는 평가다.

대경권 대학은 지역과의 협력체계도 공고하다.

포항공대와 대구한의대 등 대구·경북 대표 13개 대학과 대구시, 경상북도, 대구·경북연구원, 대구테크노파크 등은 지난 1월 ‘대경 공동 기술지주회사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대학 특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 대구·경북은 국내 첫 연구 개발특구인 대전의 대덕 특구와 더불어 지난 2011년초 ‘대구특구’가 조성돼 경북대, 대구대 등 특구내 8개 대학이 ‘지역 특성화’ 발전을 이끌어오고 있다.

반면, 도내 대학은 특성화 부문 집중 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간 연계 전략이 부족하다.각 대학들도 그동안 독자적인 전략에 집중해 왔다.

특성화 사업은 4개 권역의 전국 126개 지역대를 평가, 최종 60∼70개 대학만 선정됨에 따라 도내 대학이 지자체와 연계한 특성화 전략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생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도는 ‘대학발전협의회(가칭)’ 구성을 통해 지자체와 대학, 산업기관과 유기적 협력 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협의회는 도지사를 위원장, 각 대학 총장들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분과는 기획분과, 산업분과로 나뉘어 각 대학 기획처장, 산학협력단장, 도내 산업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염동열 국회의원(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강원권 대학이 특성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지자체-산업체’간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끝> 박지은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