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소영

도자원봉사센터장

‘바다만 빌려줬다.’

8월 4일자 강원도민일보 1면 기획 기사의 제목이다. 한여름 열심히 일해서 일 년 산다고 할 만큼 동해안 권역은 피서철 상경기에 기대는 바가 크다. 그러나 근래 들어 피서객들이 동해안에 오더라도 주머니는 좀체 열지 않아 바캉스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당일치기 알뜰휴가가 대세가 되는 휴가 트렌드의 변화를 미처 반영하지 못한 지역 상가들과 지자체의 대응도 아쉽지만, 피서객들이 남기고간 쓰레기만 고스란히 지역의 몫이 될 것이 더욱 착잡하다.

문득 이날의 기사 제목이 눈에 띠고 기억에 남는 것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이와 비슷한 불안과 염려를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도민들은 평창 올림픽이 강원도라는 공간을 빌릴 뿐 강원도의 발전이나 도민의 기대를 따르지 못할 것이라는 염려가 크다.

이런 우려가 한낮 기우가 되려면, 중앙정부는 대회가 치러질 강원도의 민심과 기대를 이해하고 조직위원장 교체에 따른 조직의 재정비와 후원기업 유치에 속도를 내야 하며, 각종 시설 설비의 준비와 사후 활용에 대해서도 강원도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중앙정부와 조직위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지 않도록 다양한 창구와 기회를 마련해서 이번 올림픽이야 말로 그 지역에, 그 지역의 사람들에게 ‘남는’ 올림픽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남길 것인가? 근래 들어 올림픽의 성공은 더 이상 경제적 효과로 계산되지 않는다. 비교적 잘 치러진 올림픽이라고 평가받는 일본의 나가노올림픽이나 캐나다 밴쿠버 올림픽도 재정적으로는 적자 올림픽이었다. 그럼에도 성공적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올림픽 이후 남겨진 것이 단순히 ‘시설’이 아니라 그 대회를 치러낸 이들의 ‘경험’과 ‘자부심’이기 때문이다.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다수의 경험을 지적, 심리적, 사회적 유산으로 남기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바로 ‘자원봉사’이다. 자원봉사는 집행부들이 그토록 바라는 ‘비용 절감’의 효과뿐 아니라 ‘자긍심 고취’와 분열된 지역 정서에 대해 ‘사회적 통합’을 이끌어내는 가장 적합한 실천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강원도 지역의 자원봉사자와 주민들의 참여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거기서부터 강원도 소외론은 사라질 것이며, 궁극적인 지역 통합도 시작될 것이다. 강원도 자원봉사센터에서도 지난 6월 포럼을 통해 평창 올림픽에서 자원봉사센터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하였다. 전국과 세계 각국에서 몰려들 자원봉사들의 숙박을 책임질 ‘vol-stay(자원봉사자들을 개최지 현지 가정에 숙박시키고, 체재기간 동안 지역에 대한 이해와 체험을 유도)’나, 글로벌 청소년 자원봉사리더 양성과 같은 실천 가능하며 유용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지역 주민이 먼저 즐기고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는 올림픽을 이길 만한 것은 없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우리가 진정 남겨야 할 것은 지역주민들과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이뤄낼 경험과 그 경험의 재생산임을 새로 정비되는 평창 올림픽 조직위와 중앙정부가 꼭 기억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