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준구

청연서당·

춘천문화원 사무국장

맹자는 사람에게만 착한 본성(善性)이 있다고 하였으며, 그 본성은 태어날 때 이미 하늘에서 부여한 것이기 때문에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이를 근거로 해서 생각해본다면, 사람이 아무리 악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사람 본성이 악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나 조건에서 얻어진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죄는 미워도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격언과 그 맥을 같이한다고 하겠다.

인간 본성이 착하다는 생각은 인간에 대한 무한 신뢰를 가져다준다. 그 본성이 착하다고 믿는 것은 인간에 대한 신뢰를 기본으로 한다는 것과 동의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착하기만 해서는 사회가 건전하고 바른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집단을 움직이는 수장(首長)이나 리더(leader)가 지니고 있는 품격(品格)이나 기품(氣稟)이 중요하다.

국가를 이끌어가는 대통령이 지니고 있어야 하는 품격이나 기품은 장관 등과 같은 국무위원과는 달라야 하고 분명 크고 나아야 한다. 그리고 광역단체장인 도지사나 중소도시 시장이나 군수 등도 품격이나 기품 또한 각 국이나 과에 국장이나 과장과는 보다 깊이가 있고 달라야 한다.

공자는 어떠한 인품이나 덕성을 지녔던 사람인가. 이에 대해 논어에 “공자께서는 온화하면서 엄숙하고, 위엄이 있으면서 사납지 않으며, 공손하면서도 편안하였다.(子溫而 威而不猛 恭而安)”라고 기록하고 있다.

온화(溫和)함은 부드러움이고 엄숙(嚴肅)함은 진지(眞摯)함이니, 이는 매사에 우격다짐이 아닌 부드러우면서도 진실하게 대하는 모습이다.

위엄(威嚴)이 있다고 함은 점잖은 모습이고 사납지 않음은 타고난 기질(氣質)이 그렇기 때문이다.

공손(恭遜)함은 자신을 낮추면서도 직분을 다하는 모습이고 편안하였다고 함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직분이나 신분을 잊게 할 정도로 편안하게 대해 줌을 뜻한다.

공자에 대한 인격과 기품을 설명하고 있는 이 글은 공자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성인(聖人)을 알만하며 공자만한 덕성(德性)을 지니고 있지 않고서는 표현해 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정자(程子)는 증자(曾子)가 이 글을 기록하였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가까이 있을수록 편안하게 느껴지는 사람이라면, 이는 공자와 같이 훌륭한 인품을 지녔을 것이다. 참된 리더십은 자신을 낮추면서도 직분을 다하고 약자인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는 인품을 지닌 사람에게서 발휘될 수 있다.

아울러 그러한 리더십을 알아볼 수 있는 혜안(慧眼)을 지닌 사람을 만났을 때 그 참된 가치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