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확인 등 필요성 대두

연구센터 폐지로 동력 상실

관련 조례·예산 마련 절실

‘강원은 무엇이고,강원인은 누구인가. 강원이라는 공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강원과 강원인의 정체성을 확인하고,평창동계올림픽을 문화올림픽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강원학 연구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강원학의 기틀을 만들고 추진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재정적 제도적인 시스템을 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14일 강원발전연구원에서 ‘강원도의 정체성과 미래가치’를 주제로 열린 강원포럼 참석자들은 지역학으로서 ‘강원학’을 발전시키기 위한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강원학 발전 없이 문화올림픽은 있을 수 없다”고 전제한 최영재 한림대교수는 “강원의 산하·역사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이 있어야 한다”고 중요성을 역설했다.

육동한 강원발전연구원장은 “강원도는 지역학으로서의 강원학을 비교적 일찍 시작한 선도 지역이었지만 지금은 그 맥이 끊어질 상황”이라며 “강원학의 기틀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이며,강원학 연구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연말까지 관련 조례를 만들어 예산을 확보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제주 지역학의 위상’을 주제로 발표를 한 문순덕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역학 연구의 한 모델로서 제주학을 소개했다. 제주지역과 제주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주학 정립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민선 5기 ‘우근민 도정’ 공약으로 결정돼 2011년 ‘제주학연구센터’가 설립됐고,2014년 ‘원희룡도정’ 역시 제주학 진흥을 공약에 포함시켜 인력과 예산을 확대하고 있다. 2012년부터 매년 예산이 증액돼 올해까지 총 23억이 투입됐으며,6명의 전담인력이 활동하는 등 제주학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더구나 지난 2013년에는 ‘제주학연구센터 설립 및 지원조례’가 제정돼 제주학 연구의 제도적 장치까지 마련된 상태여서 강원학의 연구 환경과 대비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제주보다 9년 빠른 지난 2002년 강원발전연구원 내에 ‘강원학연구센터’가 설립되며 연구가 본격화됐지만 지난 2010년 연구원 내부 조직 개편에 의해 센터가 폐지되며 연구 동력을 잃었다.

강원발전연구원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시대의 변화에 맞춰 강원도가 자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제를 지역이 주체가 되어 바꾸어 나가려는 명확한 인식과 분명한 문제해결 의식이 필요한 시점에 그 이론적 토대가 강원학이 될 수 있도록 도민 전체의 인식 제고가 요구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수영 sooyoung@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